한국과 포스트 포디즘 하에서의 위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08:51
본문
Download : 한국과 포스트 포디즘 하에서의 위기.hwp
(유연한 네오-테일러주의적 모델)
* Japan과 대륙 유럽은 보다 높은 사회적 기준과의 교환을 통하여, 품질과 생산성을 위한 노력에서 숙련 향상과 노동 참여를 증진시키는 strategy을 취하였다. 그 결과, 제조업의 하이테크 분야들은 첫 번째 유형의 국가들로 집중하였고 반면, “테일러주의적이고 유연한” 선진국들은 제 2차 국제분업에…(省略)
레포트/자연과학
,자연과학,레포트
1. 금융적 충격 (1979-1982)* 이는 곧 “유리한 차입”과 수요를 통한 위기관리의 종언을 의미했다.
2. 공급측면의 2가지 선...
한국과 포스트 포디즘 하에서의 위기
다.2. 공급측면의 2가지 선... , 한국과 포스트 포디즘 하에서의 위기자연과학레포트 ,
Download : 한국과 포스트 포디즘 하에서의 위기.hwp( 19 )
설명
1. 금융적 충격 (1979-1982)
순서




* 이는 곧 “유리한 차입”과 수요를 통한 위기관리의 종언을 의미했다.
2. 공급측면의 2가지 선택지를 둘러싼 선진국 내에서의 분열
* 미국과 대서양 유럽지역은 테일러주의적인 노동조직은 유지한 채,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노동비용의 감축을 선택하였다. 이들 국가들은 최악의 조건 아래에서 외채를 상환하여야 했고 악화된 자본-임노동 관계를 선택하였다. 3차 국제분업은 거기에다 “참여”와 숙련 노동자(고임금과 경직된 계약을 가짐)를 통한 제조활동과, 테일러화된 노동자(저임금과 유연한 계약을 가짐)를 통한 제조활동 사이의 분업이 추가된 것이다.
* 반면 아시아의 권위주의적 정권들은 신용, 투자, 수출을 통한 부채상환 능력 사이의 관계를 신중하게 검토하고 계획을 수행하였다.
Ⅲ. 제 3차 국제분업과 아시아의 경우
1. 제 3차 국제분업
제 3차 국제분업은 제 1차 국제분업(제조업/1차산품) 및 제 2차 국제분업(설계/실행)을 동반한다.(“교섭에 기초한 참가” 모델)
* 80년대 말경에 이르면 2번째의 선택이 더욱 더 경쟁력 있는 것으로 판명이 난다.
3. 금융적 충격이 불러일으킨 신흥공업국내의 우열
*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신용을 남용하였다. 시간당 노동비용의 증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이들 “교섭에 기초한 참가” 국가그룹은 구조적인 무역흑자를 얻게 되었다. 이들 나라들은 충격을 긍정적으로 흡수하였고 Japan식 발전모델을 추종하기 처음 하였다 : 고숙련과 임금 증대.
* 그 결과 최초의 4마리 용 국가들은 제 2의 아시아 신흥공업국가들에게 원시적 테일러주의의 역할을 넘겨주게 되었다.
1. 금융적 충격 (1979-1982)
* 이는 곧 “유리한 차입”과 수요를 통한 위기관리의 종언을 의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