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상 조합에 서의 조합원의 탈퇴에 대한 법적검토 - 민법상 조합에서의 조합원의 탈퇴에 대한 법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2 13:58본문
Download : 민법상조합에서의조합원의탈퇴에대한법적검토.hwp
② 조합의 존속기간을 정한 때에도 조합원은 부득이한 사유가 있으면 탈퇴할 수 있다
대판 87.11.24. 86다카2484 2인으로 된 조합에 있어 그 중 1인이 탈퇴하면 조합관계는 종료된다 할 것이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조합은 해산되지 아니하고 따라서 청산이 뒤따르지 아니하며, 다만 조합재산은 남은 조합원의 단독소유에 속하고, 탈퇴자와 남은 자 사이에는 탈퇴로 인한 계산을 하는 데 불과하다.
Download : 민법상조합에서의조합원의탈퇴에대한법적검토.hwp( 14 )
민법상 조합에 서의 조합원의 탈퇴에 대한 법적검토
설명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이 경우, 조합채권자는 잔존 조합원에게 여전히 그 조합채무 전부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대판 99.5.11. 99다1284). 그리고 조합원 1인이 해산을 청구한 때는 별개문제이다. 이 판례는 조합에 의하여 이미 이루어진 사업은 유지?존속시키는 것이 국가적?경제적 견지에서 유익하고 당사자의 의사에도 합치된다는 것을 이유로, 가능한 한 조합의 해산을 제한하려는 취지이다.
민법상 조합에 서의 조합원의 탈퇴에 대한 법적검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민법상 조합에 서의 조합원의 탈퇴에 대한 법적검토 - 민법상 조합에서의 조합원의 탈퇴에 대한 법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민법상 조합 서 조합원 탈퇴 법적검토
민법상 조합에 서의 조합원의 탈퇴에 대한 법적검토 - 민법상 조합에서의 조합원의 탈퇴에 대한 법적 검토
레포트/법학행정


민법상,조합,서,조합원,탈퇴,법적검토,법학행정,레포트
순서
민법상 조합에서의 조합원의 탈퇴에 대한 법적 검토
1. 임의탈퇴
제716조 [임의탈퇴] ① 조합계약으로 조합의 존속기간을 정하지 아니하거나 조합원의 종신까지 존속할 것을 정한 때에는 각 조합원은 언제든지 탈퇴할 수 있다 그러나 부득이한 사유 없이 조합의 불리한 시기에 탈퇴하지 못한다. 다만 상속인이 사망조합원의 지위를 승계한다는 특약을 조합계약에서 하고 있는 경우에, 이 특약은 유효하다(대판87.6.23. 86다카2951).
대판 96.12.10. 96다23238 부동산의 합유자 중 일부가 사망한 경우 합유자 사이에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사망한 합유자의 상속인은 합유자로서의 지위를 승계하지 못하므로, 해당 부동산은 잔존 합유자가 2인 이상일 …(省略)
다.
2. 비임의탈퇴
제717조 [비임의탈퇴] 전조의 경우 외에 조합원은 다음 각 호의 사유로 인하여 탈퇴된다
1. 사 망
2. 파 산
3. 금치산
4. 제 명
조합원이 사망하면, 당연히 탈퇴하는 것이 되고, 원칙적으로 그의 상속인이 조합원의 지위를 승계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