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3:56본문
Download : [경제원론]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hwp
그러나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재화와 서비스가 주는 효용을 통일된 기준으로 정확히 수치화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이를 소비자 측면에서 쉽게 말하자면, 짬뽕과 자장면을 동시에 무한정 먹을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짬뽕과 자장면의 적절한 조합을 선택해야만 하는 것이다. 소비자가 적절한 조합을 선택한다면 그의 만족도는 높아질 것이며, 이때 느끼는 만족도를 효용이라고 부를 수 있다. 맨 큐. 「맨큐의 경제학」, 교보문고, 2001.
설명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
레포트 > 기타
![[경제원론]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547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A%B2%BD%EC%A0%9C%EC%9B%90%EB%A1%A0%5D%20%EC%86%8C%EB%B9%84%EC%9E%90%EC%9D%98%20%ED%95%A9%EB%A6%AC%EC%A0%81%20%EC%84%A0%ED%83%9D%EA%B3%BC%EC%A0%95-5477_01.gif)
![[경제원론]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547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A%B2%BD%EC%A0%9C%EC%9B%90%EB%A1%A0%5D%20%EC%86%8C%EB%B9%84%EC%9E%90%EC%9D%98%20%ED%95%A9%EB%A6%AC%EC%A0%81%20%EC%84%A0%ED%83%9D%EA%B3%BC%EC%A0%95-5477_02_.gif)
![[경제원론]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547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A%B2%BD%EC%A0%9C%EC%9B%90%EB%A1%A0%5D%20%EC%86%8C%EB%B9%84%EC%9E%90%EC%9D%98%20%ED%95%A9%EB%A6%AC%EC%A0%81%20%EC%84%A0%ED%83%9D%EA%B3%BC%EC%A0%95-5477_03_.gif)
![[경제원론]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547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A%B2%BD%EC%A0%9C%EC%9B%90%EB%A1%A0%5D%20%EC%86%8C%EB%B9%84%EC%9E%90%EC%9D%98%20%ED%95%A9%EB%A6%AC%EC%A0%81%20%EC%84%A0%ED%83%9D%EA%B3%BC%EC%A0%95-5477_04_.gif)
![[경제원론]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5477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A%B2%BD%EC%A0%9C%EC%9B%90%EB%A1%A0%5D%20%EC%86%8C%EB%B9%84%EC%9E%90%EC%9D%98%20%ED%95%A9%EB%A6%AC%EC%A0%81%20%EC%84%A0%ED%83%9D%EA%B3%BC%EC%A0%95-5477_05_.gif)
이준구. 「미시경제학」, 법문사, 2001.
그렇다면 짬뽕과 자장면의 기로에 서있는 당신은 과연 어떠한 기준으로 두 재화의 적절한 조합을 선택할 것인가? 우선 짬뽕 한 그릇이 주는 효용과 자장면 한 그릇이 주는 효용을 정확한 수치로 측정(measurement)할 수 있다면 그것은 기수적 효용(基數的 效用, cardinal utility)이라고 한다. 짬뽕 한 그릇에 효용 1, 자장면 한 그릇에 효용 2라고 한다면 자장면 한 그릇이 소비자에게 주는 기쁨의 정도가 정확하게 짬뽕의 2배이기 때문에 소비자는 자장면의 소비를 늘리고 짬뽕의 소비를 줄일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수치로 구별되지는 않더라도 효용의 크기만 나타내주는 서수적 효용(序數的 效用, ordinal utility)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학교의
[도입 - 기수적 효용과 서수적 효용]
[]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
Download : [경제원론]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hwp( 88 )
조 순. 「경제학원론」, 법문사, 1996.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정 [참고자료] 이정용. 「경제학의 이해」, 교우사, 2001. 이준구. 「미시경제학」, 법문사, 2001. 조 순. 「경제학원론」, 법문사, 1996. 김대식. 「현대 경제학원론」, 박영사, 1996. 맨 큐. 「맨큐의 경제학」, 교보문고, 2001.
순서
[참고data(자료)] 이정용. 「경제학의 이해」, 교우사, 2001.
김대식. 「현대 경제학원론」, 박영사, 1996.
경제학의 출발점은 자원의 희소성과, 그 희소성 때문에 각 경제주체들이 경제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제한된 자원을 얼마나 합리적으로 배분하는가를 연구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측정(measurement)만 정확하게 된다면 더 이상 편한 방법이 없을 듯 하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