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교감상문re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8 05:10
본문
Download : 사장교감상문레포트.hwp
이러한 사장교 형식은 여러 나라에서 종종 채택되어 그 이름이 주목된 바 있지만 저는 무엇보다 한국인으로서 우리나라의 사장교 형식을 채용한 제 2진도대교를 주목하고자 한다. 하부공사 완료 후, 현대스틸산업 대산공장에서 제작된 강재주탑과 보강형의 각 세그먼트들이 공장에서 각종 품질검사를 마치고, 바지선에 선적되어 현장까지 운반되는 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으로 진도 측과 해남 측 측경간부 보강형 세그먼트들이 현장에 운반되어 링거 크레인을 이용한 가벤트 위에 가설된다 그리고 주탑부가 5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현장으로 반입된 후, 역시 링거 크레인을 이용하여 교각 위에 index로 가설되었…(省略)
다.
제 2진도대교는 전라남도 해남 문내면 학동리와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를 잇는 연륙교로서 총 연장 484m의 강사장교로서 총 공사비가 497억원의 예산이 소요되었다.
또한 사장교 상부공사는 다음과 같은 시공순서에 따라 진행되었다.
사장교감상문report
순서
사장교감상문레포트 , 사장교감상문레포트감상서평레포트 , 사장교감상문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사장교감상문report
사장교감상문레포트,감상서평,레포트
Download : 사장교감상문레포트.hwp( 91 )
설명
제 2진도대교는 어떠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일까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보면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서독의 라인강 교량 재건 공사에서 이에 대한 대답을 엿 볼 수 있따 본격적인 근대 사장교의 history(역사) 라 볼 수 있는 서독의 라인강으로부터 그 우수성을 확인한 바 구조해석 방법이 점차 발전됨에 따라 가설 단계를 고려한 모든 케이블의 역학적인 유용성을 생활상에 반영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순수한 자신의 기술로 사장교를 시공할 수 있는 회사는 드문 반면 예외적으로 시공실적과 기술을 보유한 현대건설이 이 특정한 건축물을 설계에서 시공까지 담당하는 턴키방식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제2진도대교의 구조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형식면에서 3경간 연속의 부분복합 강사장교로 설계되었음을 볼 수 있따 차량이 통행하는 보강형은 진도 측 15개, 해남 측 15개 및 중앙부의 키세그먼트까지 31개로 분할되어 공장 제작되었으며, 총 60개의 케이블이 진도와 해남 측 측경간에 각 6쌍씩, 또 중앙경간에 9쌍씩 69m 높이의 강재주탑으로 지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