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9 19:31본문
Download :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hwp
친척 간 생활에서 가문과 가풍을 중요시 하였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예절을 발달 시켰다.
례: 제사를 지내는 제례의식.
항렬- 같은 혈족에서 갈라져 나간 계통 사이의 대수 관계를 나타내는 말. 돌림자라고도 함.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Download :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hwp( 87 )
관혼상제란?- 관: 한 개인이 자라서 어른이 되었을 때 치르는 성인식.
3)족보- 조상 숭배와 가문에 대한 의식을 나타내는 수단으로써, 부계(父系)를 중심으로 혈연관계(血緣關係)를 도표식으로 나타낸 한 종족의 계보(系譜). 여자에 대한 배려가 없고 돈을 들여 족보를 만들거나 허위로 조작하여 자신의 가문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기고 함.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상: 집안 어른 등이 돌아가셨을 때 치르는 상례, 장례식.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혼: 혼인을 할 때 치르는 혼인식.


(형님) (아주버님) 처형 형님
촌수- 친척 사이에 먹고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수.
남동생 제수
(아버님) (어머님) 장인어른 장모님
(아주버님) (형님) 처남 아주머니
*남편 가족은 왼쪽, 아내 가족은 오른쪽, 아내의 호칭은 가로로 나타냄.
누나 매형 (언니) (형부)
4)호칭문제- 오늘날 친척 생활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촌수, 항렬, 호칭과 같은 문제들이다. 그런데 이 항렬을 따지다 보면 나이가 적은데 항렬이 높거나 나이가 많은데 항렬이 낮을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미묘한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혼인, 장례, 제사 등에서 엄격한 예절의 형식과 절차를 강조하였는데, 관혼상제가 그 예 이다.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아버지 어머니 부모 (아버지) (어머니)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다. 가끔 친척들을 만날 때, 나와 촌수가 어떻게 되는지, 호칭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나보다 윗사람인지 아랫사람인지 등과 같은 문제는 친척 간의 교류를 더욱 어렵게 한다.순서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5)친척 간의 호칭
가족 구성의 외연 - 친척 윤리
.
.
형 형수님 형제, 자매 (오빠) (언니)
.
설명
2)친척윤리- 우리 조상들은 예전부터 친척을 중심으로 가정 생활과 이웃 생활을 영위해 왔다.
1)친척이란?- 촌수가 가까운 혈족, 인척, 배우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친척에 포함되는 가까운 집안, 즉 근친을 제외한 그 밖의 혈족은 일가 또는 종친이라 부름. 혈족은 피를 나눈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며, 인척은 혼인으로 인하여 맺어진 사람들을 일컫는 말임.
쉽게 말해 아버지 쪽에서 갈라져 나온 혈통에 대한 세대 순서를 말하는 것인데 이 항렬이 높은 사람은 할아버지뻘이나 아저씨뻘이 되고 항렬이 낮은 사람은 조카뻘이나 손자뻘이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