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3 15:27본문
Download :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hwp
설명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이규보의 포부는 「왕을 도와 나라를 경영하고 문장으로 나라의 문학을 빛내는 것」이었다. 그는 이런 사명감으로 구삼국사를 구해보고 당시 민중들에게 구비되던 동명왕의 이야기를 수용하여 장편서사시 동명왕을 지었다. 1220년(고종7년) 예부낭중, 한림시강학사를 거쳐 1230년 위위시판사가 되었으나 팔관회를 열 때 옛 규례를 어긴 것이 문제되어 위도에 유배되었으며 1232년에 비서성판사에 승진하고, 이듬해 집현전대학사, 정당문학, 참지정사, 태자소부등을 거쳐 1237년에 문하시랑평장사, 감수국사, 태자대보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그가 태어날 무렵의 고려사회는 북방세력인 거란, 여진, 몽고의 침략과 더불어 국내적으로 민란이 일어나는 시대이다.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
1170년 정중부를 중심으로 한 무신들이 난을 일으켜 고려전기의 문벌귀족사회를 해체하고 무인중심의 권력구조를 형성하여 history(역사) 적 전환기를 이룩하게 되어, 1258년까지 계속된다된다. 이규보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제 3권에 수록되어있는 글로서, 전체적인 구성은 해모수를 주인공으로 삼아 동명왕 탄생 이전의 계보를 밝히는 서장, 동명왕 주몽의 출생, 시련, 투쟁, 승리를 영웅의 일생에 맞게 노래한 본장, 그리고 동명왕의 사업을 계승한 유리왕이 즉위할 때까지의 경로 및 작가의 느낌을 서술한 종장의 3부로 되어있다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무신정권의 성립은 대외적으로 무력대응을 불사하는 주체적 성향의 강성외교로 바뀌게 하였고, 대내적으로는 고려전기의 귀족문인들이 제거된 자리에 행정문서를 담당한 실무적 식자층의 진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Download :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hwp( 66 )
《동명왕편》은 총 길이가 5언 282구이며, 운문체의 한시로 약 4천자에 이른다.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이규보(李奎報, 1168 ~ 1241), 초명은 인저, 자는 춘경, 호는 백운거사․지헌․삼혹호선생, 시호는 문순으로 1189년(명종19년) 사마시에 응시하여 장원으로 합격하였다. 즉, 이규보는 무신정권의 한가운데에서 문필활동을 한 무신정권기의 문인인 것이다. 1202년(신종5년) 12월에 동경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종군의 지원하여 병부녹사 겸 수제원이 된다된다. 1207년(희종3년)에는 최충헌의 명으로 모정기를 지어 직한림원권보에 임명되고, 이후 참군사, 사재승, 우정원을 거쳐 1219년(고종6년)에 좌사간으로서 지방관리의 죄를 묵인하였다하여 탄핵을 받게되고, 계양도호부부사병마검할로 좌천된다된다. 그는 위서와 통전같은 china(중국) 측 고서에 동명왕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 투비컨티뉴드 되어 있음에 비판적 관점을 견지하면서 ‘동명왕의 사적’을 장편시로 엮어 민족의 정신적 구심점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듬해 예부시에 응시하여 동진사로 뽑히지만, 실제관직에 올라선 것은 1199년(신종5년) 진주목사록겸 서기에 보임된 것이다. 이것은 동명왕편이라는 영웅 서사시를 통해 우리민족의 유구한 history(역사) 와 전통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표현해 민족적 의지를 결집시킨 것이다.
순서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이규보의 신의와 이인로의 용사
2. 이규보를 둘러싼 시대적 상황과 동명왕편
다.





3. 이
이규보는 고려무신정권기의 사람이다. 1196년부터 60년간 장기집권을 하게되는 최씨 정권의 문인지식층 등용정책과 더불어 관인으로 진출하게 된다된다. 그리하여 문신과 무신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 있었다. 이규보는 1241년 그의 나이 74세에 병환이 악화되어 진양후 최이가 이상국의 문집간행을 서두르게 하였으나 이를 보지 못하고 9월에 생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