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사회] 사회의 원동력으 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 / 사회의 원동력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06:13본문
Download : [예술과 사회]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hwp
순서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예술과 사회 사회의 원동력으 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 / 사회의 원동력으
[예술과 사회] 사회의 원동력으 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 / 사회의 원동력으
Download : [예술과 사회]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hwp( 34 )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 목차 1. 서론 2. 이적에 ...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 목차 . 서론. 이적에 대한 紹介 2.1. 이적의 작품 활동 2.2. 이름 ‘이적’의 중의성 . 사회에 대해 말을 건네는 이‘적(笛)’-곡의 형식적 측면 3.1. ‘그 어릿광대의 세 아들들에 대하여’-저항적 말하기 3.2. ‘불면증’-test(실험) 적 소리 지르기 3.3. ‘어느 날’-세련된 노래하기. 사회에 대해 말을 건네는 이‘적(敵)’-곡의 내용적 측면 4.1. ‘왼손잡이’-대중이 재창조하는 가사 4.2. ‘UFO’-이상향에 대한 로망 4.3. ‘장난감 전쟁’-공허한 사회 비판 4.4. ‘서쪽 숲’-허무한 내적 독백. 대중이 평가하는 이적 5.1. (대체로) 성공한 이‘적(笛)’ 5.2. (현재로선) 미흡한 이‘적(敵)’. 결론 . 서론 ‘아침이슬’이라는 곡을 부르면 잡혀가던 시절이 있었다. 그런 면에서 대중가요를 비롯한 대중예술...
![[예술과 사회]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1299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C%98%88%EC%88%A0%EA%B3%BC%20%EC%82%AC%ED%9A%8C%5D%20%EC%82%AC%ED%9A%8C%EC%9D%98%20%EC%9B%90%EB%8F%99%EB%A0%A5%EC%9C%BC%EB%A1%9C%EC%84%9C%EC%9D%98%20%EC%98%88%EC%88%A0%20(%EC%9D%B4%EC%A0%81%EC%9D%98%20%EC%9D%8C%EC%95%85)-1299_01.gif)
![[예술과 사회]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1299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C%98%88%EC%88%A0%EA%B3%BC%20%EC%82%AC%ED%9A%8C%5D%20%EC%82%AC%ED%9A%8C%EC%9D%98%20%EC%9B%90%EB%8F%99%EB%A0%A5%EC%9C%BC%EB%A1%9C%EC%84%9C%EC%9D%98%20%EC%98%88%EC%88%A0%20(%EC%9D%B4%EC%A0%81%EC%9D%98%20%EC%9D%8C%EC%95%85)-1299_02_.gif)
![[예술과 사회]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1299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C%98%88%EC%88%A0%EA%B3%BC%20%EC%82%AC%ED%9A%8C%5D%20%EC%82%AC%ED%9A%8C%EC%9D%98%20%EC%9B%90%EB%8F%99%EB%A0%A5%EC%9C%BC%EB%A1%9C%EC%84%9C%EC%9D%98%20%EC%98%88%EC%88%A0%20(%EC%9D%B4%EC%A0%81%EC%9D%98%20%EC%9D%8C%EC%95%85)-1299_03_.gif)
![[예술과 사회]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1299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C%98%88%EC%88%A0%EA%B3%BC%20%EC%82%AC%ED%9A%8C%5D%20%EC%82%AC%ED%9A%8C%EC%9D%98%20%EC%9B%90%EB%8F%99%EB%A0%A5%EC%9C%BC%EB%A1%9C%EC%84%9C%EC%9D%98%20%EC%98%88%EC%88%A0%20(%EC%9D%B4%EC%A0%81%EC%9D%98%20%EC%9D%8C%EC%95%85)-1299_04_.gif)
![[예술과 사회]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1299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C%98%88%EC%88%A0%EA%B3%BC%20%EC%82%AC%ED%9A%8C%5D%20%EC%82%AC%ED%9A%8C%EC%9D%98%20%EC%9B%90%EB%8F%99%EB%A0%A5%EC%9C%BC%EB%A1%9C%EC%84%9C%EC%9D%98%20%EC%98%88%EC%88%A0%20(%EC%9D%B4%EC%A0%81%EC%9D%98%20%EC%9D%8C%EC%95%85)-1299_05_.gif)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예술 (이적의 음악) 목차 1. 서론 2. 이적에 ...
다. 예술이 예술로서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의해 영향을 받아 창조된 산물이라는 면에서, 마땅히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야 할 의무가 있다고 본다. 이 곡은 가사의 의미가 반역적이고 체제 비판적이라는 이유로 유신 정권 시절 금지되어 오히려 더 유명해졌고, 하나의 노래가 사회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 뼈저리게 느끼게 했다. 이처럼 예술은 감상자와 소통하면서 의미를 창출하고,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이것은 예술이 불가피하게 야기하는 결과가 아니다. 대중가요의 경우 감상 주체가 다수인만큼, 대중이 어떻게 수용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사회에 엄청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따 60년대 반전 집회 때 대중이 존 레넌의 ‘Imagine’을 부르는 것, ‘서태지와 아이들’의 ‘Come Back Home’을 듣고 실제로 가출 靑少年들이 집으로 돌아오는 것을 보노라면 유신 정권이 그토록 수많은 곡들을 금지한 것도 과민 reaction response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