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semi.co.kr the twenty-first century의 어문 정책 > stssemi6 | sts-semi.co.kr report

the twenty-first century의 어문 정책 > stssemi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tssemi6

the twenty-first century의 어문 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00:56

본문




Download : 21세기의 어문 정책.hwp




그런데 일본사람은 “愛人”이라고 할 때에는 ‘2호 부인’ 또는 ‘첩’을 말한다. 읽기의 음성 구조는 China, 일본, 한국이 모두 다르다. 얼마나 3개국이 다른가? 일본은 “麻雀”이라고 하면 우리가 생각하는 놀…(To be continued )







다음에, 한자를 익혀야 한자 문화권에서 문화 생활을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자.물론 누구나 중국어나 일본어를 배울 수 있으면 그것도 그런 대로... , 21세기의 어문 정책인문사회레포트 ,


다음에, 한자를 익혀야 한자 文化(culture) 권에서 文化(culture) 생활을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자.

Download : 21세기의 어문 정책.hwp( 69 )




순서




21세기의%20어문%20정책_hwp_01.gif 21세기의%20어문%20정책_hwp_02.gif 21세기의%20어문%20정책_hwp_03.gif 21세기의%20어문%20정책_hwp_04.gif 21세기의%20어문%20정책_hwp_05.gif 21세기의%20어문%20정책_hwp_06.gif

the twenty-first century의 어문 정책
설명
물론 누구나 中國어나 Japan어를 배울 수 있으면 그것도 그런 대로...
다. 아니 광고 한 장 옳게 읽지 못한다.
다음에, 우리는 “애인”(愛人)이라고 하면 연애를 하는 이성이다. 우리가 영어 하나만을 봐도 이 점은 잘 알 수 있다 영어는 중학교에서 3년간, 고등학교에서 3년간, 대학에서 4년간을 합해서 10년을 배우고도 신문, 잡지도 못 보고 문학 작품은 대개가 생각도 못 해 본다. China인은 “愛人”이란 표현을 ‘본처’나 ‘남편’이란 뜻으로 쓴다. 이 무슨 꼴인가?
한자 culture권이라고 해도 좀 따져 보면 간단치 않다. 우리식 한자말로는 “편지”(便紙) 이외에 “서신”(書信), 또는 “서한”(書翰)이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China어의 문장은 문법부터 우리와 다르다. 홍콩은 China에의 반환 후에도 영어를 그대로 쓰고, 한자를 대만식 재래 글자도 쓰고 China식 간체자도 쓴다.,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음에, 한자를 익혀야 한자 culture권에서 culture 생활을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자.
물론 누구나 China어나 일본어를 배울 수 있으면 그것도 그런 대로 의미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렇게 할 수는 없다. 일본은 일본식 약자를 개발하여 쓰고 있다 우리는 China 간체자는 안 배우고 재래식 한자를 대만처럼 쓰지만, 한편 일본식 약자가 보급되어 있다 그래서 China, 대만, 홍콩, 일본, 한국 등이 나라마다 한자 쓰기가 다른 것이다. 만일 그렇게 억지로 하려고 한다면 되지도 않고, 되지도 않는 일에 많은 사람의 시간과 정력 및 비용만 낭비시키고 부담하게 할 것이다.
China(중화 인민 공화국)에서는 한자 그대로가 아니라 약자인 ‘간체자’를 쓴다. 그런데 China인의 “手紙”란 것은 화장지이다.
일본어에서 편지를 한자로는 “手紙”라 적고 [데가미]라고 읽는다. 거기다가 표시된 한자의 뜻도 각 나라마다 다른 경우가 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본다. China말로 편지는 “信”이다.
전체 41,24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ts-se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