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식생활과 영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04:01
본문
Download : 식생활과 영양.hwp
식생활과 영양에 대한 자료(data)입니다.
1)한국 고유음식 설
日本(일본)의 경우 1800년도 경부터 ‘김’을 취급했다는 기록이 있고 우리는 훨씬 이전부터인 신라시대 또는 최소한 조선초기인 1400년경부터 취급해 왔으니 우리가 日本(일본)에 비해 ‘김’식단文化(culture) 는 훨씬 앞서 있다는 conclusion(결론)을 쉽게 단정할 수 있다아
아울러 ‘김’의 property(특성)상 밥을 싸먹는 형태로 취급될 수밖에 없으니 당연히 김밥의 history도 우리가 日本(일본)보다 더 앞서 있을 수 있다는 conclusion(결론) 또한 쉽게 유추해 볼 수 있다아
깔끔한 맛을 강조하여 무순, 생선, 계란말이 등으로 간단히 구성하거나 아예 복잡하게 몇 번을 말아 튤립 형태, 물고기 형태 등을 표현하여 생선초밥을 장식하는 ‘장식김밥’의 형태로 발전한 日本(일본)의 김밥과 비교하여도 현재의 우리의 김밥은 다분히 한국적이라 할 수밖에 없다.
비슷하게 인접해 있는 나라끼리는 비슷한 文化(culture) 적 property(특성)을 가지고 있고 특히 ‘음식’과 같이 유형文化(culture) 가 아닌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보존하기 힘든 ‘무형 文化(culture) ’는 구전과 기록에 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원조가 어디라고 하는 논 쟁을 쉽게 conclusion(결론) 내릴 수 없다.
우리나라의 김밥과 매우 비슷한 ‘데까마끼’는 속에 참치가 들어간 김밥의 일종으로 에도시대 말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 사이에 동…(skip)
식생활과 영양






설명
순서
식생활과영양
레포트/의약보건
,의약보건,레포트
식생활과 영양에 대한 자료입니다. 하지만 한국의 김밥이 日本(일본) 관동지방의 김초밥 이 건너와서 변형되어 발전한 것이라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2)日本(일본) 기원 설
모양이 총을 닮았다고 하여서 ‘대포마끼’라고도 부르는 ‘호소마끼’(細卷:김 한 장을 반으로 잘라 밥의 가운데에 박 속을 넣어만든 것:아주 일반적임)나 ‘데까마끼’(鐵火券:생선말이김밥)는 에도(동경)지방에서 창안한 것이다.
Download : 식생활과 영양.hwp( 28 )
1. 김밥의 기원
- 김밥의 기원에는 한국고유음식설과 日本(일본) 기원설로 나누어 볼 수 있다아
日本(일본)에서 기원된 초밥의 원조가 관서 지방인 것과 달리 김초밥(노리마끼)은 관동지방(동경)이 원조이다.
인접해있는 나라끼리 가지고 있는 무형文化(culture) 가 어디서 기원됐는가를 밝히 는 것은 쉽지 않다. 식생활과영양 , 식생활과 영양의약보건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