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기의 추정력 및 소유권보전등기의 추정력에 관련 된판례태도分析(분석) - 등기의 추정력 및 소유권 보전등기의 추정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15:27본문
Download : 등기의추정력및소유권보전등기의추정력에관련된판례태도분석.hwp
따라서 부동산 등기는 현재의 진실한 권리상태를 반영하지 아니하였어도 유효한 것으로서, 등기명의자가 전소유자로부터 부동산을 취득함에 있어 등기부상 기재된 등기Cause 에 의하지 아니하고 다른 Cause 으로 적법하게 취득하였다고 하면서 등기Cause 행위의 태양이나 과정을 다소 다르게 주장한다고 하여 이러한 주장만 가지고 그 등기의 추정력이 깨어진다고 할 수 없을 것이므로, …(투비컨티뉴드 )
설명
등기의 추정력 및 소유권보전등기의 추정력에 관련 된판례태도分析(분석) - 등기의 추정력 및 소유권 보전등기의 추정력
등기의 추정력 및 소유권보전등기의 추정력에 관련 된판례태도분석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2. 추정력의 범위(판례의 태도)
⑴ 등기된 권리의 적법추정(등기된 모든 부동산 물권에 추정력이 있다)
저당권 등기가 있으면 피담보채권의 존재도 추정된다된다. 등기의 공신력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법률상 추정력으로 보완하려고 한다.
⑵ 등기Cause 의 적법추정(단, 학설은 반대하는 견해가 다수설)
판례는 등기Cause 에도 추정력이 미치므로 이를 다투는 상대방에게 입증책임이 있다고 한다.
레포트/법학행정



등기의 추정력 및 소유권보전등기의 추정력에 관련 된판례태도分析(분석)
등기의 추정력 및 소유권 보전등기의 추정력
Ⅰ. 등기의 추정력 인정범위 판례의 태도
1. 등기추정력의 본질에 대한 학설과 판례
⑴ 법률상 추정설(判例)
점유의 추정력에 관한 규정인 200조를 유추적용하여 법률상 추정으로 본다.
⑶ 양설의 차이
우선 법률상 추정설에 따르면 입증책임이 상대방에게 전환되는 효과(效果)가 생기며, 추정을 깨뜨리려면 반증(상당한 의심이 가는 정도의 입증)으로서는 부족하고 본증(권리의 부존재에 대해 합리적인 의심이 없을 정도의 확신이 가는 정도의 입증)으로 그 추정권리의 부존재나 소멸을 입증하지 않으면 안 된다된다.
반면 사실상 추정설에 따르면 입증책임은 그대로 등기명의인에게 남아 있고 등기의 존재는 일응 유력한 증거가 됨에 그치며 추정을 깨뜨리기 위해서는 반증으로 족하게 된다된다.
부동산임차권 등기가 있으면 임차권의 존재도 추정된다된다. , 등기의 추정력 및 소유권보전등기의 추정력에 관련 된판례태도분석 - 등기의 추정력 및 소유권 보전등기의 추정력법학행정레포트 , 등기 추정력 소유권보전등기 추정력 관련 된판례태도
순서
등기,추정력,소유권보전등기,추정력,관련,된판례태도,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등기의추정력및소유권보전등기의추정력에관련된판례태도분석.hwp( 95 )
다.
⑵ 사실상 추정설
등기의 기재사항은 진실에 부합할 개연성이 높다고 하는 경험법칙에 기한 사실상 추정이라고 본다. 법률상 추정은 명문의 규정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명문규정이 없는 한 사실상 추정에 불과하다고 보아야 한다는 견해이다.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