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푸코, 말과사물 요약 (세계의산문/표상하기/표상의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0 18:52
본문
Download : 미셸푸코,말과사물요약.hwp
제2장(세계의 산문), 3장 (표상하기) 7장(표상의 한계)을 요약했습니다. 이것은 유비와 적합에 의해 인지될 수 있다아
미셸푸코, 말과사물.
공감은 그것의 쌍둥이인 반감에 의해 보충되며 반감은 동화를 막는다. 참고문헌 미셸푸코, 말과사물.



제3장-표상하기
설명
첫째, 적합-적합은 차츰차츰 접근하는 형식으로 공간과 연결된 하나의 유사성이며 사물들 그 자체가 지니는 속성이라기보다는 사물들이 존재하는 세계가 지니는 성격이다.
제2장-세계의 산문
미셸푸코, 말과사물 요약 (세계의산문/표상하기/표상의한계)
본문내용
Download : 미셸푸코,말과사물요약.hwp( 27 )
16세기 말에 이르기까지 유사성은 서구 문화에서 지식을 구성하는 역할을 했으며. 유사성에 대한 지식을 명료하게 해줄 수 있는 주요한 형상들에는 네 가지가 있다아
둘째, 모방적대립-장소의 법칙으로부터 자유롭고, 움직이지 않고도 멀리까지 작용할 수 있으며, 우주의 양 극단에 있는 두 개의 사물이 연결 되거나 인접되지 않고도 서로를 모방할 수 있게 해준다.
순서
셋째, 유비- 적합 및 모방적 대립과 중첩되며, 속박에서 벗어나 하나의 주어진 지점으로부터 무한한 수의 관계들에로 확장될 수 있다아 넷째, 공감- 어떤 길도 미리 결정되는 법이 없으며, 거리도 규정되지 않고 연결고리도 전제되지 않으며 alteration(변화) 를 야기한다.
제7장-표상의 한계
제2장-세계의 산문
참고문헌
미셸푸코,말과사물,표상,세계의산문,도서요약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제2장(세계의 산문), 3장 (표상하기) 7장(표상의 한계)을 요약했습니다.
목차
다. 공감-반감의 쌍의 권능은 쌍이 규정하는 운동과 분산에 의해 유사성의 모든 형식들을 생성하므로 앞의 세 형식의 유사성들은 모두 이 공감-반감의 쌍에 의해 요약되고 설명(explanation)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