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 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6:39
본문
Download : 측 정.hwp
다른 예로는 학생의 석차, 사회계층 등이며, 가족의 지지정도를 ‘항상 그렇다’, ‘자주 그렇다’, ‘가끔 그렇다’, ‘전혀 그렇지 않다’의 빈도로 측정(測定) 하는 것도 해당된다된다. 간단한 예로 남자와 여자에 대해 각각 1과 2의 숫자를 부여하였다면 이때 1은 남자집단에 속하며 2는 여자집단에 속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2가 1보다 좋다든지, 2배라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순서






Download : 측 정.hwp( 34 )
연구의 수집
설명
측 정
2) 槪念의 측정(測定) 수준
槪念의 측정(測定) 수준은 4단계- 명목측정(測定) , 서열 측정(測定) , 등간 측정(測定) , 비율 측정(測定) -로 구분되는데 이는 측정(測定) 하려는 槪念의 속성이 척도가 가질 수 있는 숫자의 특성(特性)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다.
(1) 명목측정(測定) (Nominal measurement)
명목측정(測定) 은 측정(測定) 대상의 속성을 분류하거나 확인할 목적으로 속성을 상호배타적인 범주로 나누고 각 범주에 대해 숫자를 부여하는 경우이다.
통계기법으로는 서열 상관관계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average(평균), 표준편차 등은 분석할 수 없다.연구의자료수집 , 측 정경영경제레포트 ,
측 정에 대한 글입니다. 명목척도의 다른 예로는 혈액형, 종교, 결혼상태 등이 있다 명목척도는 단지 측정(測定) 대상이 같은 집단이 속하는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을 뿐 다른 어떤 정보도 제공하지 않으므로 이 척도에 의해서 얻어진 정보는 4가지 척도형태 중 가장 적은 양의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순위간의 차이는 일정하지 않으므로 양적인 비교를 할 수 있는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 가능한 통계기법은 범주별 빈도분석, chi square 등으로 제한되어 있다
(2) 서열측정(測定) (Ordinal measurement)
서열 측정(測定) 은 측정(測定) 대상간의 순위를 밝혀주는 척도로써 측정(測定) 대상의 속성을 파악하여 측정(測定) 대상간에 크고 작은 또는 높고 낮은 등의 순위를 부여하는 경우이다.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다. 명목측정(測定) 과 서열측정(測定) 은 측정(測定) 치간의 간격…(투비컨티뉴드 )
측 정에 대한 글입니다.
예를 들면 3개의 정당에 대상으로하여 선호하는 순서대로 1, 2, 3의 숫자를 부여하였을 때 이는 1이 2보다 선호되고 2가 3보다 선호되며 또한 1이 3보다 선호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선호의 정도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