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이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1 06:07본문
Download : 율곡이이.hwp
3. 사상
성리학 사상(이기론)
이 - 본래의 성질. 변하지 않는 절대적인 것
기 - `이`를 나타냄. 활동, 작용하면서 변하는 것
실 - 학문과 이론(理論)도 실천하고 거두는 것이 있어야 한다.
아버지는 이 원수, 공은 수운판관, 사헌부 감찰을 지냈고, 어머니는 사임당은 시, 서, 화 삼절로 이름난 여인으로 기묘 명현 평산 신명화와 용인 이씨 사이의 둘째 딸이다.
사회개혁사상
1. 인물 중심으로 벼슬에 등용할 것
2. 백성들의 무거운 세금을 줄일 것
3. 천민들에게 양민이 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
4. 말길을 열어줄 것
5. 국방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10만 군대를 기를 것
4. 교훈점
율곡이이는 십만양병설을 주장하는 등 앞을 내다보는 지혜가 있었으며 효성이 매우 지극해 16세에 어머니 사임당을 여의게 되자, 무덤 옆에 묘막을 짓고 3년 동안을 아침저녁으로 밥을 지어 올리고 묘소를 돌보았으며…(투비컨티뉴드 )
율곡이이
율곡이이,기타,레포트
율곡이이 , 율곡이이기타레포트 , 율곡이이




율곡이이
순서
Download : 율곡이이.hwp( 86 )
레포트/기타
설명
다. REPORT
김승민
율곡 이이
1. 출생배경
율곡의 성은 이씨, 이름은 이, 자는 숙헌, 호는 율곡이다. 본관은 덕수 이씨로서, 아버지는 원수, 어머니는 사임당 신씨이다.
율곡은 7남매 중 다섯째(위로 형 2, 누나 2)로 외가인 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나 거기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6세 때 서울 수진방(:지금의 수송동과 청진동)의 아버지 본가로 올라와 10여년을 살다가 16세 되던 해 봄에 다시 삼청동으로 이사하여 생활하게 된다된다.
그러나 이런 활발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선조가 이이의 개혁안에 대해 계속 미온적인 태도를 취함에 따라 그가 주장한 개혁안은 별다른 성과를 거둘 수 없었으며, 동인서 인간의 대립이 더욱 격화되면서 그도 점차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2. 업적
기자실기(箕子實記)》와 《경연일기(經筵日記)》를 완성하였으며 왕에게
‘시무육조’를 지어 바치는 한편 경연에서 ‘십만양병설’을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