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와 율격 - 자유시와 전통의 계승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1 02:39본문
Download : 현대시와 율격 - 자유시와 전통의 계승을 중심으로.hwp
2. 자유시 형성에 관한 논의 - 향가와 고려속요의 전통 계승
현대시의 율격 연구에 앞서 현대시-자유시의 형성과정에 대해 숙…(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전통 율격은 1920년대에 현대시가 수용되면서 다양한 모습으로 계승, 변용되었는데, 본고는 그 양상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시의 율격론 중에서 비교적 공인된 조동일과 성기옥의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현대시와율격-자유시와전통의계승을중심으로 , 현대시와 율격 - 자유시와 전통의 계승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현대시와율격-자유시와전통의계승을중심으로
다. 현대시의 율격론 중에서 비교적 공인된 조동일과 성기옥의 이론(理論)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1. 서론
2. 자유시 형성 과정에 대한 논의 - 향가와 고려속요의 전통 계승
3. 현대시의 율격 연구
1) 전통적 율격의 계승 - 조동일론
2) 전통율격의 계승과 전통 율격의 변용 - 성기옥론
4. 結論 - 다양한 논의에 관한 소고
우리 시가에서 율격의 논의가 활발히 있어 왔는데, 초기의 음수율 논의에서 발견된 문제가되는점 을 음보율로 극복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고, 음보율 중심의 율격론이 현재 지배적인 입장이다. 한국 시가를 구성하는 운율의 기본 단위는 음보이며 이 음보가 3~4개 씩 모여서 하나의 시행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아우리 시가의 전통적인 율격은 보통 2음보격, 4음보격, 4음보격, 5음보격의 4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 중에서 주류를 이루는 것은 3보격과 4보격이다.
설명
Download : 현대시와 율격 - 자유시와 전통의 계승을 중심으로.hwp( 26 )
현대시와 율격 - 자유시와 전통의 계승을 중심으로
전통 율격은 1920년대에 현대시가 수용되면서 다양한 모습으로 계승, 변용되었는데, 본고는 그 양상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3음보격이 change(변화)를 기조로 한 무용의 율격이라면, 4음보격은 안정을 기조로 한 보행의 율격이라고 할 수 있다아 우리의 전통시가 중에서 고려 속요 및 경기체가는 3음보격이고 시조와 고려대 이후의 가사는 4음보격이며, 민요는 3음보격과 4음보격으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적인 미의식에 適應(적응)하는 음보율은 3음보격이었으며, 시조 이후 가사, 잡가, 민요, 창가 등에 나타나는 4음보의 음수율의 출현은 선행하는 민족 고유의 3음보를 정복한 외래 文化(culture) 의 승리였음을 설명(說明)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