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 한국사 중간.hwp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0 15:13
본문
Download : 청주대 한국사 중간.hwp.hwp
한국사 요약
1주차 1교시
1구석기 사회와 文化(culture)
1)지구environment
현생 인류의 조상인 유인원이 출현한 시기는
B,C. 250만년인 신생대 제4기인 홍적세부터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처음 한 때는
약 B,C,70만년부터로 추정
한국사에서 구석기 시대의 유적과 유물
최초로 한반도에서 거주하였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
구석기 시대 당시 지구는 빙하기가 수십만 년 주기로 반복
- 빙하기와 간빙기 내에서도 소빙하기, 간빙기가 갑자기 도래
- 어려운 environment에서 adaptation(적응) 하며 살아야 했음
- 오늘날과 전혀 다른 environment 조건에서 유적이 만들어짐
→ 구석기 유적은 빙하기와 간빙기 때의 다양한 동물 화석이 출토
빙하기와 간빙기가 교체되면서 극심한 change(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줌
2)유적
1. 1933년 함경북도 종성의 동관진이 가장 먼저 발견
→ 日本(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인정을 받지 못함
2. 1960년대 본격적인 발굴 처음
→ 1962년~1963년 함경북도 웅기의 굴포리,...
한국사 요약
1주차 1교시
1구석기 사회와 文化(culture)
1)지구environment
현생 인류의 조상인 유인원이 출현한 시기는
B,C. 250만년인 신생대 제4기인 홍적세부터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처음 한 때는
약 B,C,70만년부터로 추정
한국사에서 구석기 시대의 유적과 유물
최초로 한반도에서 거주하였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
구석기 시대 당시 지구는 빙하기가 수십만 년 주기로 반복
- 빙하기와 간빙기 내에서도 소빙하기, 간빙기가 갑자기 도래
- 어려운 environment에서 adaptation(적응) 하며 살아야 했음
- 오늘날과 전혀 다른 environment 조건에서 유적이 만들어짐
→ 구석기 유적은 빙하기와 간빙기 때의 다양한 동물 화석이 출토
빙하기와 간빙기가 교체되면서 극심한 change(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줌
2)유적
1. 1933년 함경북도 종성의 동관진이 가장 먼저 발견
→ 日本(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인정을 받지 못함
2. 1960년대 본격적인 발굴 처음
→ 1962년~1963년 함경북도 웅기의 굴포리, 부포리
→ 긁개, 새기개 등이 들어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물 포함층
3. 1964년 충남 공주군 장기면 석장리에서 전기로부터 후기까지의 구석기 시대 유물이 발굴
4. 현재까지 발견된 구석기 유적은 1000곳이 넘음
구석기 시대 주요 유적
북한: 평남 상원의 검은 모루 동물, 덕천의 승리산 동굴, 함북 웅기 굴포리 등
남한: 충북 제천의 점말동굴, 단양 금굴, 충남 공주의 석장리, 제주도의 빌레못 동굴, 경기도 연천의 전곡리, 충북 청원의 두루봉과 단양의 수양개 유적 등
→ 한반도에 구석기 시대부터 전국적으로 구석기인이 거주했다는 것이 증명
구석기 시기별 유적과 characteristic(특성)
전기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원숭이, 큰쌍코뿔이 등 29종류의 열대 동물 뼈와 뗀석기들, 구석기인들의 식생활을 파악할 수 있음
경기도 연천 전곡리: 아슐리안 계통의 주먹도끼 출토, 모비우스 학설의 오류
충북 단양 금굴: B,C,70만 년, 우리나라 최고의 유적지, 전기 구석기~ 청동…(투비컨티뉴드 )
순서
설명
청주대 한국사 중간.hwp , 청주대 한국사 중간.hwp기타시험족보 , 청주대 한국사 중간 hwp
청주대 한국사 중간.hwp
청주대 한국사 중간.hwp
청주대,한국사,중간,hwp,기타,시험족보
Download : 청주대 한국사 중간.hwp.hwp( 44 )
시험족보/기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