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의 수업과 교수theory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05:14
본문
Download : 교육심리학의 수업과 교수이론.hwp
수업설계를 함에 있어서는 수업의 과정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2) 수업의 일반모형
수업이란 하나의 과정, 즉 연속적 활동이다. 그 이유는 교육목적의 설정방향이 수업과정에 관한 理論을 크게 갈라놓기 때문일것이다 어떤 내용을-지식이든 기능이든-학습자가 학습하기 쉽도록 조직한다는 것이 교육과정이 개발에 있어서나 수업방법을 계획하는 데에 필수적인 처리해야할문제이다. 수업설계는 수업의 과정에 대한 설계라고도 할 수 있따 수업의 설계가 끝나면 실제의 수업이 이루어진다. 수업의 실제에 있어서 무엇보다 먼저 생각해야 할 일은 수업의 설계이다.
Download : 교육심리학의 수업과 교수이론.hwp( 92 )
수업의 개념, 수업의 과정, 교수이론에 대해서, 수업의 개념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수업의 과정을 수업목표, 출발점행동, 수업절차, 평가의 4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글레이서 (R. Glaser)의 수업과정모형을 중심으로 알아본 후, 마지막으로, 수업이론을 구체적으로 살펴봤습니다. 실제 수업이 이루어지면, 이 수업이 과연 설계대로 미루어지고 있는지를 analysis하…(투비컨티뉴드 )
,사범교육,레포트
수업의 정의(定義) , 수업의 과정, 교수theory 에 대상으로하여, 수업의 정의(定義) 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수업의 과정을 수업目標(목표), 출발점행동, 수업절차, 평가의 4단계로 구분하여 설명(explanation)하는 글레이서 (R. Glaser)의 수업과정모형을 중심으로 알아본 후, 마지막으로, 수업theory 을 구체적으로 살펴봤습니다.
수업이란, 학습자가 특정한 수업목표(目標)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내부적 環境(환경)과 외부적 環境(환경)을 계획적 체계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 교육심리학의 수업과 교수이론사범교육레포트 ,
순서
교육심리학의 수업과 교수theory
다. 다시 말하면 수업이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인간의 내면적 활동과정으로 전개되는 학습(행동의 alteration(변화) )을 촉진하기 위하여, 학습자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적 環境(환경)조건 또는 사상을 정비 관리하는 일로 보았다.
브루너(J.S.Bruner,1962)에 의하면 어떤 지식 또는 기능을 가장 效果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규칙을 미리 마련하고, 학습의 성과를 측정(測定) 하고 평가하는 기술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수업理論은 처방적이라고 말하였다. 이 방면의 지식을 종합하여 槪念을 확인 탐색하고, 조직하고 적절한 법칙을 찾으려는 것이 이른바 수업理論 또는 교수理論이다.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개요
1. 수업과 교수
1) 수업과 교수의 槪念 정이
2) 수업의 일반모형
2. 글레이서 (R. Glaser)의 수업과정모형
1) 수업목표(目標)의 설정과 진술
2) 출발점행동의 진단
3) 수업의 실제와 질적 관리
4) 학습성과의 평가
3. 교수理論들
1) 인지주의 통수理論
2) 인본주의 환수理論
갸네(1970)는, 수업이란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학습자의 내적 및 외적조건을 체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수업이란, 수업목표(目標)로 설정한 행동유형의 alteration(변화) (학습)가 학습자에게 일어나도록, 그의 내적 상황에 맞추어 그의 외적 상황과 조건을 설계하고 개발하고 관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따 그러면 먼저 수업의 과정을 체계화하는 하나의 틀이 될 수 있는 槪念모형을 살펴보기로 하자 수업의 槪念모형의 analysis에서 우리는 교육목적을 보는 관점에 초점을 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