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이 만난 history -제주4.3 미술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2 15:39본문
Download : 미술이 만난 역사 -제주43 미술운동-.hwp
up미술이만난역사 , 미술이 만난 역사 -제주4.3 미술운동-예체능레포트 ,
up미술이만난history
1. 미술이 만난 history(역사) , history(역사) 가 배태한 4.3미술
2. history(역사) 미술로서의 4.3미술
3. 4.3미술운동의 약사
4. 4.3미술은 어떻게 history(역사) 를 기억하는가?
5. 4.3미술작품전 연보(1988˜2003)
1. 미술이 만난 history(역사) , history(역사) 가 배태한 4.3미술
‘4·3미술’ 또는 ‘4·3미술운동’이란 용어의 사용은 적절한가? 하는 문제부터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즉 본 연구에서 ‘4·3미술’이라는 용어가 지칭하는 함의 또는 concept(개념)은 타당한가를 먼저 확인하고 볼일이다.
레포트/예체능






,예체능,레포트
다.
`제주 4.3 미술운동의 역사와 현재`를 주제로 한 내용 입니다. 즉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운동이라는 큰 틀의 흐름 속에서 과정상의 운동성이라는 공통점이 그것이다. 그리고 history(역사) 미술은 history(역사) 그 자체가 아니라 history(역사) 의 기억을 재현 또는 비재현적 방법으로 호출하는 이미지(오브제를 포함한)인 것이다.
4·3미술이라고 할 때 그 concept(개념)은 무엇인가? 우선 직설적으로 표현하면 ‘4·3미술은 4·3이라는 실제 했던 history(역사) 적 사건·사실에서 비롯된 history(역사) 미술’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필자는 4·3미술을 history(역사) 미술이라는 범주 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history(역사) 미술’ 즉 ‘history(역사) 화’란 근대미술 이후에 미술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내용적 장르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history(역사) 를 재료로 한 생산된 이미지에는 지나가 버린 history(역사) 의 기억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며, 망각되어진 history(역사) 의 호출은 그 history(역사) 적 사건 내에서 해결되지 못한 Task 를 해결하거나, 새롭게 재구성되어 어떤 에너지로 활용할 당대적 인식, 시각에 의해 재현되는 것이다.
엄밀하게 말해 본 연구와 공동으로 진행되고 있는 5·18미술, 미술운동과 4·3미술은 겹치면서 나뉘는 각각의 property(특성)이 있다 5·18미술은 history(역사) 적 사건의 와중에서 생산되어진 당대성(사건의 와중에서 실제 제작되고 사용된)을 포함하고 있다면 4·3미술은 짧게는 40년 전, 길게는 50년 전까지의 실제 사건과의 시간적 시차 즉 history(역사) 적 단절을 겪고 그를 대상화한 작품들이기에 서로 다른 property(특성)이 있으며, 서로 공통적인 property(특성)은 5·18미술운동과 마찬가지로 은폐되고 삭제 당한 history(역사) 적 진실을 폭로, 알리는 현재진행형의 운동성을 지니고 있다는 지점이다. 미술사에 나타난 서구에서의 history(역사) 화는 르네상스 이후 18세기말 19세기 초까지 서구미술의 가장 중요한 장르화의 하나가 된다 18세기 다비드의 프랑스혁…(생략(省略))
Download : 미술이 만난 역사 -제주43 미술운동-.hwp( 14 )
미술이 만난 history -제주4.3 미술운동-
순서
설명
`제주 4.3 미술운동의 history와 현재`를 주제로 한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