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semi.co.kr 겨울의 세시풍속 > stssemi2 | sts-semi.co.kr report

겨울의 세시풍속 > stssemi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tssemi2

겨울의 세시풍속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23:40

본문




Download : 겨울의 세시풍속.hwp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때는 당의 정관례에 따라 12월 인일에 신성북문에서 사제를 지냈고, 고려의 문종은 송나라를 본받아 술일로써 납일을 정하였지만, 대체로 대한 전후 진일로 납일을 삼아 왔는데, 조선조에 와서 동지 뒤 세 번째 미일로 납일로 정하게 되었다.
그 이유를 이수광은

china(중국) 의 한나라 채옹의 설을 인용하여 “청제는 미랍으로써, 적제는 술랍으로써, 백제는 축랍으로써, 흑제는 진랍으로써 한다.”고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미로써 랍을 삼았으니 그것은 동방이 본에 속하기 때문이다

라고 했다.

Download : 겨울의 세시풍속.hwp( 76 )


겨울의 세시풍속
겨울의 세시풍속에 대한 글입니다. 특히 청심원은 ‘신단’이라 하여 china(중국) 에까지 그 이름이 유명했다고 한다.





순서
(2) 납 일
12월에 납일이 있다아 이 납일을 china(중국) 의 하나라에서는 ‘가평’, 은나라에서는 ‘청사’, 주나라에선 ‘대사’라 하던 것을 한나라에 와서 ‘납일’이라 하였는데 납은 렵으로 짐승을 사냥하여 백신에 제사하던 것이 나중에는 조상에게 제사하게 되었다.겨울의세시풍속 , 겨울의 세시풍속자연과학레포트 ,


,자연과학,레포트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겨울의%20세시풍속_hwp_01.gif 겨울의%20세시풍속_hwp_02.gif 겨울의%20세시풍속_hwp_03.gif
겨울의세시풍속

겨울의 세시풍속에 대한 글입니다.
그런데 납일을 china(중국) 의 한나라에서는 동지 뒤 세 번째 술일로 정하였고, 위나라에서는 진일로, 진에서는 축일로, 당은 정관례에는 인일지진일로, 개원례에는 진일로, 그리고 송나라에서는 술일로 정하여서 시대마다 각기 그 날이 달랐다. 이것은 모든 영문에 나누어 주어 군사…(省略)


다. 납약으로 중요한 것은 청심원[청심환]·안신원[안신환]·소합원[소합환]등인데, 청심원은 정신장애에, 안신원은 열을 다스리는데, 소합원은 토사곽란에 효험이 크다고 한다. 임금은 이 납약을 다시 근시와 지밀내인들에게 나누어 주어 병을 고치게 하였다. 이것은 우리 나라가 동방이므로 방위로는 동에 해당하고 동은 오행에서 ‘목’에 해당하고 본은 오색에서 ‘청’에 해당하니, 곧 청제의 미랍으로써 정했다는 설명(explanation)이다.
이 납일에 약을 만들면 1년 내 변하지 않는다고 하여 옛날 내의원에서는 여러 가지 환약을 지어 임금에게 진상하였으니 이를 납약이라 했다. 정조 14년(A.D.1790)에는 제중단과 광제환을 만들었는데, 이것들은 소합원보다 efficacy가 더욱 빨랐다.
전체 41,02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ts-se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