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존브라이트 군네벡 헤이스&밀러 이스라엘 歷史(역사) 방법론별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3 03:31본문
Download : 이스라엘역사의발생과방법론적연구.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신학] 존브라이트 군네벡 헤이스&밀러 이스라엘 歷史(역사) 방법론별 조사
(1) 도식적인 시대구분
존브라이트
창세기 - 열왕기까지 방법론적 접근
설명
③출애굽 --480년-- 솔로몬성전 건립 --480년-- 바벨로포로기 귀환
[문학비평에서 보면] 창세기-열왕기까지 편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창세기-여호수아의 주된 줄거리는 신학적인 影響(영향) 아래 인위적으로 이루어진 문학적 구성물로 본다.
다. 두 번째는 명백한 모순을 사실로 만들기 위해 가상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는 것이다.
창세기-여호수아 설화는 고대의 역싸관에 전형적이었던 도식적인 시대구분을 보여준다. 전승의 사건과 중심인물들을 통해 관습(할례), environment(환경) (가나안에 정착한 이유, 서로 언어가 다른 이유[바벨론사건] ), 제도(율법과 계명) 등을 이해시킨다. 이 경우 상호모순을 가진 문헌을 두 가지 측면으로 보는데, 첫 번째는 그 문헌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정확성이 없는 것으로 보거나 어느 영역(입장, 자료(data), 구절)을 받아들이거나 모두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다. 헤이스&밀러
순서
②창조후 2666년에 출애굽을 했다는 것과 창조후 27세대 이후 출애굽을 했다는 것이 일치한다. 각기 고유한 역싸적 의의, 해석 문제를 지닌 독립된 자료(data)들(이야기, 노래, 족보)이 결합되어 전체기사가 생겨났다. 전승은 그 민족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역할을 하며 민족 중심적이고 민족의 관례나 행동양식이 생겨난 이유에 대해 설명(說明)해준다. 또한 성경의 모순성을 볼 수 있는 부분이 많은데, 이것은 역싸가들의 입장에선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본다.
군네벡
Download : 이스라엘역사의발생과방법론적연구.hwp( 24 )
① 인류의 수명이 고대인류는 900~1000세 / 홍수이후는 600세미만 / 아브라함-모세 사이는 100~200세 / 모세이후는 현대와 비슷하다. 두 가지 모두 역싸가의 주관적 해석과 관련된 결정들이 포함되어 있다.
(2) 편집성과 상호모순성
전승들과 전승에 사용된 자료(data)들을 구별해야하며 편집자들의 의도 또한 구별해야 한다.

(3) 민간전승들과 신학적 의도들
존브라이트, 군네벡, 헤이스, 밀러, 방법론, 신학, 구약
창세기 - 열왕기까지 방법론적 접근 존브라이트 군네벡 헤이스&밀러
2. 문학 비평적 분석의 성과로써, 편집자들이 성경기사를 이상적으로 묘사하여 병합시킨 전승들이 역싸적 의의들과 충돌을 일으킨다고 생각한다. 즉, 이스라엘 왕정시대 이전에 역싸는 그 존재를 의심해 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