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사회사업 실천모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21:06
본문
Download : 집단사회사업.hwp
설명
순서
Konopka에 의해 형성된 모델이나. 초기 사회복지 기관 및 단체라 할 수 있는 인보관, YMCA, YWCA, 걸 스카웃, 보이스카웃 등이 이 모델과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활동한다.
1. 사회목표(goal) 모델(social goals model)
집단사회사업 실천모델
집단사회사업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성장을 원하는 개인들에게 의도적으로 집단경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집단성원의 요구와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성장발달 및 사회화에 기여하는 사회복지실천의 한 방법이라고 定義(정이)할 수 있따 집단사회사업은 정신치료방법에 기반을 두고 발전한 개별사회사업, 가족치료 등의 방법과는 달리 주로 사회복지관 운동과 adolescent(청소년)사업의 분야에서 집단의 경험을 이용하여 개인을 도시environment(환경) 에 맞게 사회화시키고, 민주과정에 참여하도록 하는 사회개혁을 목적으로 태동하였다.
다.
2. 집단성원의 가치체계
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실천모델 사회목표모델 상호작용모델 / ()
<초기 집단사회사업의 모델>
3. 집단사회사업가의 가치체계
<집단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가의 기본원칙>
Download : 집단사회사업.hwp( 36 )
3. 상호작용 모델(reciprocal model)
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실천모델 사회목표(目標)모델 상호작용모델 /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집단사회사업에서의 가치체계와 실천 원칙>
Papell과 Rothman은 집단사회사업의 모델을 사회목표(goal)모델(social goal model), 치료모델(remedial model) 상호작용모델(reciprocal model)의 3가지로 구분하여 說明(설명) 하였다(Papell and Rothman, 1980 ; Tosel and Rivas, 1984).
2. 치료모델(remedial model)
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실천모델 사회목표모델 상호작용모델
1. 사회목표(goal) 모델(social goals model)
제한점은 다양한 서비스 실천영역에서 직면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theory 적 준거틀이 없고, 사회문제나 사회적 기능을 강조함으로서 사회문제보다 개인의 문제가 우위에 있을 때 개인의 사회적 기능화를 원조할 수 있는 지침이 없다는 점이다.
1. environment(환경) 적, 맥락적 가치체계
주요관념은 사회적 의식, 사회적 책임이며, 이를 통한 시민(Citizen)참가, 선량한 사회인, 민주적 과定義(정이) 습득을 주된 목표(goal)로 하며 이 모델에서 社會福祉士는 교사, 조력자의 역할을 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