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semi.co.kr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 stssemi1 | sts-semi.co.kr report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 stssemi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tssemi1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9 22:12

본문




Download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hwp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여음의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면 단순한 조음구의 역할, 시가의 전체를 마무리짓는 종결의 역할, 각 연과 여음 사이의 분리를 보여주는 분절의 기능, 음보나 음악적 요소의 길이를 고려한 해음적 기능, 마지막 부분에서 앞의 내용을 종합해주면서 감정을 절정으로 치닫게 하는 절정적 기능 등이 그 대표적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아 이에 대한 자세한 사례들은 본론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
순서



Ⅱ.본론


1.여음의 종류
1) ‘위’ 계열


餘音이라는 것은 흥과 멋을 돋구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결과 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내지 감탄적 사설을 말한다.
고려가요 작품들 가운데 ‘위’라는 어구가 쓰인 작품으로는 <사모곡>,<서경별곡>,<가시리>, <한림별곡> 등이 있다아
①사모곡
②서경별곡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Download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hwp( 35 )



여음을 형태별로 나누어 보자면 ①‘위’ 계열 ②‘아으’ 계열 ③‘아소 님하’ 계열 및 그 밖에 몇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아 이 체계에 따라 여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부분의 ‘위’ 이하부분은 의미가 없는 악기의 구음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의미상으로 보면 여음이 개입되는 곳은 현대시의 의미단락인 聯으로는 볼 수 없다. 그라고 ‘아소님하’로 다시 한 번 이 부분이 부연되고 있지만 詩情의 의미는 ‘위’ 이하 부분, 즉 제5행까지에서 일단락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노래의 한 절만 싣는 <시용향악보>에 후렴 부분까지 intro 된 것으로 보아 이 부분까지가 악곡사의 공통성을 지닌 한 절임이 분명하다. 정병욱(1982), “악기의 구음으로 본 별곡의 여음구”, 『고려시대의 가요문학』(새문사)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



<사모곡>은 單聯의 노래이므로 <서경별곡>처럼 분절의 기능은 없으나 ‘위’ 부분이 앞서의 내용을 일단락하고 바로 아래에서 내용을 요악 제시하고 있다아 이를 다른 관점으로 본다면 다음 부분의 내용을 ‘위’ 부분이 환기하고 있다고 할 수도 있다아 즉 노래의 핵심이 되는 내용을 이끌어 주는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는 것이다.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설명

외 다수
여기서 ‘위’ 부분이 의미가 없다는 것은
다.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3338_01_.jpg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3338_02_.jpg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3338_03_.jpg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3338_04_.jpg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3338_05_.jpg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서경별곡을 보면, ‘위’로 이끌어지는 부분은 “위 두어렁셩 다링디리”로서, 한 절이 끝날 때 마지막 부분에 위치한다. 여음은 원시시가의 생성과 더불어 발생하여 향가 고려가요에 이르기 까지 그 모습을 변모하며 발전해 왔다. 여기서는 고려가요 작품들에 나타난 여음의 종류를 계열별로 나누어 보고 계열별 작품에 따라 여음의 기능과 특질을 함께 알아보도록 한다. 결국 단락의 종지 기능과 다음 내용을 북돋아 주는 구실을 하는 것이 ‘위’ 부분이다.
전체 41,33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ts-semi.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