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20주년특집>동아시아 IT시대 열린다-한국의 IT비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05:06본문
Download : 020917-.gif





우선 2006년까지 누리망 이용인구를 전 국민의 90%로 확대하고 PC 1대당 학생수를 5명으로 낮춰 교과 수업의 20%에 IT를 활용하며 성인 대상의 온 라인 학습체제도 갖춰나갈 예정이다.
이에 정부는 올해 ‘제3차 정보화촉진기본계획(2002∼2006년):e코리아 비전 2006’을 수립해 본격적인 질적 도약에 돌입했다.
다.
Download : 020917-.gif( 31 )
<신화수기자 hsshin@etnews.co.kr>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두 index에 걸친 정보화촉진계획으로 정보기술(IT) 강국으로 우뚝 섰다.
국내 IT산업 및 연구 집적단지에 외국 IT기업과 연구소를 적극 유치해 IT산업 발전 거점으로 육성키로 했다.
<창간20주년특집>동아시아 IT시대 열린다-한국의 IT비전
<창간20주년특집>동아시아 IT시대 열린다-한국의 IT비전
그렇지만 명실상부한 강국이 되려면 IT활용을 더욱 극대화하고 세계 IT리더십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세계 정보화 순위 19위인 우리나라를 2006년께 10위권에 진입시킨다는 goal(목표) 다. 공공 부문에선 현재 54종에 불과한 온 라인서비스를 올해 말 400여종으로 확대하고 2006년께엔 모든 업무로 확대할 방침이며 모바일 정부 기반 구축, 전자투표제 등을 도입키로 했다.
정부는 올해 총 2조900억원을 투입해 △4세대 이동통신·정보보호시스템 등 IT the gist기술 개발 △IT기반의 바이오정보기술과 나노기술 개발 △대학 IT연구센터·국가지정연구실 지원과 IT교육 확대 △디지털콘텐츠·e비즈니스 등 IT신산업 육성과 IT벤처 투자자금 확대를 추진키로 했다.
이전의 IT戰略과 비교해 눈에 띄게 달라진 것은 해외 IT산업의 국내 유치를 적극 추진한다는 점이다.
<창간20주년특집>동아시아 IT시대 열린다-한국의 IT비전
순서
설명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
레포트 > 기타
또 표준·물류·지불 기반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50개 업종에 대한 B2B네트워크를 구축해 현재 4%인 the gist 산업의 전자거래율을 30% 수준까지 끌어올리기로 했으며 온 라인 인증마크제도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IT산업의 생산액은 작년 말 150조원에서 2006년 276조원으로 확대되며 전체 산업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2.9%에서 17%로 높아지고, 수출액도 384억달러에서 895억달러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창간20주년특집>동아시아 IT시대 열린다-한국의 IT비전
◆아시아 IT 허브국가로 도약, 세계 정보화 순위 톱 10위 goal(목표)
이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은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를 갖추고 IT월드컵을 계기로 국가 이미지가 improvement(개선)되는 등 IT허브국가로서의 여건을 갖췄으나 중국(China)·싱가포르·홍콩 등 경쟁국에 비해 외국기업의 유치 環境(환경)이 취약한 점을 improvement(개선)하지 않으면 쉽지 않을 것으로 展望(전망) 했다.
무엇보다 IT산업 육성이 중요한 과제課題다.
정보 인프라를 고도화하기 위해 정부는 각종 법과 제도를 정비하기로 했으며 누리망 주소 자원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v6로 전환할 예정이다. 마치 금융과 물류 중심지 홍콩과 같이 우리나라를 아시아 IT시장 진출의 관문으로 바꿔놓아 IT중심국가로 자리매김한다는 戰略이다.
정부는 누리망 트래픽과 디지털콘텐츠 등을 생산·분배하는 ‘아시아IT허브국가’ 戰略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실행대안을 준비 중이다. 이동통신·온 라인게임·디지털TV 등 50대 수출유망 품목을 집중 육성해 5년간 IT수출 3500억달러, 무역흑자 1100억달러를 달성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