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h 인성교육 및 상담 ] (방통대 2010-2 youth 인성교육 및 상담 공통)민호의 진로를 ① Holland, 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6:07본문
Download : 83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hwp
인지양식에서 유의할점
다. 상담과정
1) 인간과 기본가정
홀랜드(John Holland)의 직업인성 이론(理論)에 따르면, 개인의 직업적 適應 또는 직업적 적합성은 그 개인의 초기경험의 산물인 인성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이론(理論)적 전제 아래 사람들은 자신의 인성을 표현할 수 있는 적합한 환경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이론(理論)은 사람의 행동은 그들의 성격에 적절한 직업환경 特性(특성)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R은 기술직과 숙련직으로 대표되며, I는 과학 직업과 과학기술직으로 대표된다된다. 본 장에서 제시하는
5. 서지사항
holland, adler, jung, 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 민호의진로지도, 배민호진로지도, 학업지도
아.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유의할점
이홍구 역(1983),성격심리학,서울:법문사
4) 주관성
Download : 83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hwp( 98 )
[youth 인성교육 및 상담 ] (방통대 2010-2 youth 인성교육 및 상담 공통)민호의 진로를 ① Holland, ② Adler, ③Jung의 理論에 근거하여 설명(說明)하고 학업지도를 ④ 성취동기, ⑤ 흥미와 적성, ⑥ 인지양식, ⑦ 성격과 초기의
권중돈,김동배 著,『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 Alfred Adler
가. 분석심리이론(理論)의 내용
1) 치료목표(goal)
이재창(1997). 생활지도, 문음사
가. 성취동기면에서 유의할점
3)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 교육과 4학년 youth 인성교육 및 상담 공통 참고자료(資料)입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資料)] 이장호․김정희(1992). 집단 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법문사.
라. 민호instance(사례)에 적용한 홀랜드 이론(理論)
라. 성격과 초기의 생활양식에서 유의할점
가. 인성이론(理論)의 定義(정의)
이형득(1992),상담의 理論적 접근,서울:형설출판사
김충기외 공역(1992),상담과 심리치료의 理論과 실제,서울:성화사
2) 사회적 관심
이형득 편저(1992),상담理論,서울:교육과학사
2) 주요定義(정의)
라. 민호instance(사례)에 적용한 아들러 이론(理論)
2) 우월성의 추구
3) 창조적 존재
나. 성격이론(理論)
설명
4. 민호의 학업지도
다. 홀랜드는 개인의 인성은 그들의 직업적 선택을 통해서 표현되며, 개인의 직업적 만족, 안정, 성취 그리고 適應은 그들의 인성과 직업환경 간의 적절한 연결에 달려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사람의 인성과 직업적 환경은 현실형(realistic: R), 학구형(investigative: I), 예술형(artistic: A), 사교형(social: S), 기업형(enterprise: E), 그리고 관습형(conventional: C)의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고 하다. A는 미술, 음악, 기타 문예직으로 대표되며, S는 사회복지와 교육관련직으로 대표된다된다. E는 경영과 판매직으로 대표되며, C는 사무직과 관리직으로 대표된다된다. 인성이론(理論)의 장점(長點)
레포트 >
1. John Holland
1. John Holland
나. 민호instance(사례)에 적용한 JUNG의 이론(理論)
6) 가상적 목표(goal)론
3. Jung
사. 포부수준과 기대수준에서 유의할점
가. 주요定義(정의)
2) 과정
나. 흥미와 적성면에서 유의할점
3) 해석
마. 교수방법에서 유의할점
4)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1) 총체적 존재
다. 5) 가족자리와 출생순위
임성문(2000). 집단상담의 理論과 기법. 연수자료(資料).
3) 생활양식
- 다양한 자료(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4) 생활assignment
순서





나. 홀랜드 이론(理論)의 배경
이형득(1992). 집단 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4) 재교육
자. 행동수定義(정의) 면에서 유의할점
가. 인성이론(理論)의 定義(정의)
1) 열등감과 보상
김정희외 공역(1992),현대심리치료,서울:중앙적성출판사
- 교육과 4학년 청소년 인성교육 및 상담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이장호․김정희(1992). 집단 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법문사. 이재창(1997). 생활지도, 문음사 이형득(1992). 집단 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임성문(2000). 집단상담의 이론과 기법. 연수자료. 권중돈,김동배 著,『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김정희외 공역(1992),현대심리치료,서울:중앙적성출판사 김충기외 공역(1992),상담과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서울:성화사 이형득 편저(1992),상담이론,서울:교육과학사 이형득(1992),상담의 이론적 접근,서울:형설출판사 이홍구 역(1983),성격심리학,서울:법문사
다. 분류는 영어의 알파벳 머릿글자를 하나, 둘 혹은 셋까지 조합하여 I: 수학자, C:비서, IS: 언어병리학자, CE: 은행원, ESR: 지압치료사, SEA: 초등학교 교사 등으로 표기한다. 홀랜드 인성의 탐구형(I)과 예술형(A)의 경우 反應(반응)적 change(변화)전략(reactive change strategies)을 사용하는 것을 좋아하며, 사회형(S), 기업형(E)은 활동적 change(변화)전략(reactive change strategies)을 사용하는 것을 좋아하며, 사회성(S)과 기업형(E)은 활동적 change(변화)전략(active change strategies)을 사용하는 경향성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