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년기의 위기와 가족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15:21본문
Download : 장년기의 위기와 가족관계.hwp
1/ 지혜에 가치부여 대 신체적 힘에 가치부여(valuing wisdom vs valuing physical powers)
장년기에 잘 適應하는 사람은 정신적 능력(지혜)을 증시하기에 자신이 지니고 있는 지혜가 신체적 힘이나 매력의 감퇴를 충분히 상쇄시키고도 남는다고 믿는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장년기의 위기와 가족관계
장년기의 위기와 가족관계
장년기의 위기와 가족관계 , 장년기의 위기와 가족관계인문사회레포트 , 장년기 위기와 가족관계
장년기,위기와,가족관계,인문사회,레포트
설명
Download : 장년기의 위기와 가족관계.hwp( 67 )
장년기의 위기와 가족관계
I. 장년기의 위기
융(Jung)은 장년기에 한때 위기가 찾아온다고 가정했다.
Peck(1968)은 장년기에 성공적으로 適應하기 위한 조건 4가지를 제안하였다.
2/ 대인관계의 사회화 대 성적 대상화
남녀관계를 성적 대상이라는 槪念에서 벗어나 인격에 가치를 두고 친구, 동료로서의…(drop)
다. 내면으로의 전환을 통해 그동안 잊혀진 자신의 모든 측면을 만나야 할 필요가 있따
Jung은 장년기에 자아를 외적 물질적 차원으로부터 내적 정신적 차원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가리키기 위하여 개별화(individualization)라는 槪念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중년위기theory (mid-life crisis theory)에 대한 비평가들은, 대부분의 종단적 연구에 의하면 단지 일부만이 중년의 위기를 경험한다고 제안하고 있따 한 예로 최근의 연구들은 많은 부모들이 자녀에 대한 책임감에서 벗어나길 원하는 경향이 있기에 빈둥지증후군을 갖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따 왜 자녀들을 성인으로 성장시키면서 만족이 증대되는가 Rollins(1989)는 자녀로 인한 역할과중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부부간에만 신경을 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위기를 경험하는 것은 아니지만 중년이라는 시기가 심도 깊은 자기반성의 시간임은 분명한 것 같다. 젊은 시절에 자신이 goal(목표) 했던 야망들이 서서히 그 의미를 잃어감에 따라 불완전함과 우울함과 침체감을 느끼게 된다 이때 사람들은 외적 생활로부터 내면적인 명상의 삶으로 전환되어 생의 의미를 음미하도록 측구 받는다. 자녀로 인한 과중한 부담이 부부간 의사소통과 동반자적 감정을 갖는 데 장애물이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