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습지개발에 있어서의 환경친화성으로 改善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09:11본문
Download : 연안습지개발에 있어서의 환경친화성으로 개선방안.hwp
86년 6월 전북지역 주민들의 정서를 달랠 수 있는 선거용 정책을 찾고 있던 전두환政府(정부)와 여당(민정당)은 전북 무주 출신으로 5년 가까이 전북 도지사를 지낸 황인성 농림수산부장관(85. 2 _ 87. 5.)에게 새만금지역 종합개발안을 마련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1) 사업 입안
새만금사업의 추진경위
1) 사업 입안
새만금사업은 그를 둘러싼 논의가 분분한 만큼이나 오랜 연원을 갖고 있다 이 사업은 애초
식량 증산을 최우선 시책으로 삼았던 박정희 정권 시절 마련된 서남해안 간척 장기 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 계획은 당초 2001년까지 서남해안 328개 간척 예정 지구에 모두 17조원을 들여 남한 면적의 4%를 늘린다는 거대한 프로젝트 중 가장 큰 사업이었다.(2)
<표1> 1인당 GRP추이의 지역별 비교(1963-1992)
1963
1970
1975
1980
1985
1992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광주)
경북
경남
제주
200
157
129
114
107
107
121
100
107
93
100
205
211
135
113
124
113
109
100
109
131
117
195
156
142
102
121
102
103
100
115
145
132
165
-
142
101
102
93
85
100
104
…(생략(省略))
새만금사업의 추진경위 1) 사업 입안 새만금사업은 그를 둘러싼 논의가 분분한 만큼이나 오랜 연원을 갖고 있다. 이 사업은 애초 ... , 연안습지개발에 있어서의 환경친화성으로 개선방안경영경제레포트 ,
새만금사업은 그를 둘러싼 논의가 분분한 만큼이나 오랜 연원을 갖고 있다.(1)
2) 전.노정권시기
사업비 부담 때문에 구상 단계에서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던 새만금사업은 13대 대선을 한 해 앞둔 86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전북은 지역 발전이 뒤져 어느 지역보다 주민들의 개발 욕구가 거세기 때문에 새만금이 좋겠다”는 황장관의 意見(의견)을 들은 뒤였다.
당시 전라도 지방의 경제적 낙후는 지역간 생산액을 비료할 수 있는 지표로서 1인당 지역총생산액(GRP)를 시도별 연도별로 비교한 다음 <표1>를 보아도 분명히 드러난다. 이 사업은 애초 ...
Download : 연안습지개발에 있어서의 환경친화성으로 개선방안.hwp( 96 )
연안습지개발에 있어서의 환경친화성으로 改善방안






새만금사업의 추진경위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