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1-06 09:40본문
Download : 통일정책.hwp
그러다가 독일연방공화국과 독일 민주공화국 관계의 기본원칙에 관한 조약이 발효된 1973년에는 동서독 여행자가 2백 27만명으로 뛰었다. 이 조약은 상호 무력사용을 포기하고 모든 국가의 주권 평등 독립자주,영토보존,인권보호 차별대우금지 등을 지향한다고 선언하였다. 1960년 1백10만명이던 교류인... , 통일정책인문사회레포트 ,
다.
동서독 교류과정에서 가장 불편했던 부분이 언론매체의 교환이었다. 동독 당국은 서독의 TV라디오전파를 막으려 했으나 1천 4백KM에 달하는 국경선을 모두 봉쇄할 수는 없었다.
순서
동서독의 인적교류에 제한적인 규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분단초기부터 연간 1백만명 이상의 교류가 가능하였다. 1960년 1백10만명이던 교류인원이 70년엔 1백 25만명으로 늘어 났고. 1972년에는 1백 54만 명으로 불었다.
동서독은 기본조약체결 이전에 이미 통행협정을 만들어 양측간의 여행절차를 보다 쉽게 간소화한 바도 있따1971년 12월 체결된 동서독 통행협정은 여행자 보호, 인적 왕래 절차의 간소화, 화물수송절차의 완화, 교통편의 improvement(개선), 교통위원회 설치 등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라디오 는 1백% 가청권으로 확대되었다. 뿐만 아니라 서독의 3개TV방송국이 동베를린에 지사를 설치, 현지 방송을 함으로써 85%의 동독지역이 서독 TV 시청권으로 들러갔다.
결국 동서독은 1972년 11월 8일 독일 연방공화국과 독일 민주공화국 관계의 기본원칙에 관한 조약을 조인하였다.
이미 동독주민들은 1972년의 기본조약 발효 이전부터 서독의 TV와 라디오를 시청하고 있었던 것이다. 1960년 1백10만명이던 교류인...
동서독의 인적교류에 제한적인 규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분단초기부터 연간 1백만명 이상의 교류가 가능하였다.
동서독 기본조약은 또 군비…(省略)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통일정책.hwp( 99 )
설명






통일정책
동서독의 인적교류에 제한적인 규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분단초기부터 연간 1백만명 이상의 교류가 가능하였다. 동독이 언론을 통한 서독의 자유 사상 유입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동서독의 公式 적인 라디오tv교류는 기본조약이 발효된 1973년 이후부터 가능해졌다. 통일전 1988년 현재 서독의 수도 본에는 6명의 동독 특파원이 주재하고 있었으며 동독의 동베를린에는 19명의 상주 서독특파원이 취재하고 있었다. 통일 전 동서독간의 인적왕래는 5백만명에 달 하였다. 그래서 동독인들은 분단 초기부터 서독의 전파에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