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토론의 방식과 실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02 22:08
본문
Download : 제 8장 토론의 방식과 실제.hwp
이 밖에
토론을 중재하며, 판정관의 역할을 겸하는 중재자가 있어야 하며, 토론의 규모와 절차에 따라 3,5,7명과 같이 홀수의 판정관들이 필요하고, 판정관의 대표가 의장의 역할을 한다.
Download : 제 8장 토론의 방식과 실제.hwp( 49 )






설명
제 2절 토론의 유형과 방식
0. 일반적 토론의 특징
(1)찬성자와 반대자는 사상이나 입장차가 있따
(2)특정 문제에 대한 opinion(의견)ㆍ해결안ㆍ결론 등이 정해져 있어 상호 대립관계에 있따
(3)자기 주장의 근거ㆍ증거를 제시, 자기 주장의 정당성을 상대방에게 알린다.
- 토론의 진행
각 연설은 정해진 시간에서 30초 이상을 초과할 수 없…(To be continued )
순서
제 8장 토론의 방식과 실제
레포트/법학행정
토론에 상대하여
토론에 대해서8주차발표조보고서 , 제 8장 토론의 방식과 실제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8주차발표조보고서
다. 그러나 의회식 토론은 학교에서 많이 채택되기 때문만이 아니라 의회 민주주의의 운영 방법이기도 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통상 정부팀과 반대팀으로 나누어 부르며, 정부팀이 안건을 제출하면 반대팀이 정부팀의 안건이 부당함을 입증해야한다.
1. 의회식 토론
이 토론 방식은 현재 학교 토론에서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으며, 현재 50대국 이상이 참여하는 세계의회토론대회가 매년 전 세계 대도시를 순회하며 열리고 있따 이처럼 의회식 토론이 많이 쓰이는 이유는 그 형식이 약간의 신축성을 담보하며, 단순하고, 청중의 이의 제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영국의 의회 토론 방식에 그 뿌리를 둔다. 그렇다면 의회식 토론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살펴보자.
- 구성
두 팀간에 대결로 이루어지며 한 팀은 보통 둘에서 넷의 토론자로 구성된다된다. 반대팀이 안건을 내놓을 수는 없다.
(4)상대방의 주장이 근거 없음을 논박
(5)상대를 설득하여 나의 주장에 동조하게 하는데 이에 논리적인 방법을 이용한다.
정부팀은 수상, 부수상, 내각팀원, 내각 총무로 구성되고 반대팀은 대표, 부대표, 반대팀원, 반대팀 총무로 구성된다된다. 이 밖에 토론 시간을 재는 사람이 필요한데, 토론규모나 성격에 따라 이를 따로 두기도 하고, 판정관이 겸하기도 한다. 이 때 참여인원은 토론의 규모와 성격에 따라 신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