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화 빙하시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30 10:23
본문
Download : 빙하화 빙하시대.hwp
만년설이 더욱 치밀해져서 비중이 0.8에 이르면 빙하 얼음 (氷河氷, glacial ice)으로 변한다. 이 얼음 내에는 많은 기포들이 들어 있다 (그림). 이는 직접 물이 얼어서 된 것이 아니라 눈이 쌓여서 압력을 받아 공기와 함께 압축되면서 얼음으로 변했기 때문이다(물이 동결될 때의 얼음의 비중은 0.917로서 빙하 얼음과 구별되어져야 한다). 이렇게 점점 빙하 얼음이 발달하여 빙하가 형성된다
그림 . 빙하작용(상)과 형성된 다양한 빙하지형.
빙하 작용 (glaciation)은 지형학적인 관점에서 두 가지 점이 중요하다.
빙하화 빙하시대
Download : 빙하화 빙하시대.hwp( 26 )
빙하화 빙하시대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빙하화,빙하시대,자연과학,레포트
빙하화 빙하시대 , 빙하화 빙하시대자연과학레포트 , 빙하화 빙하시대
순서






현재 수권의 약 2%인 담수의 대부분은 빙하(glacier)로 존재하며, 현재 육지의 약 10%는 빙하로 덮여 있다
지난 수백 만년 동안 빙하가 지표의 넓은 지역을 덮고 있었던 때가 여러 index 있었는데, 북반구의 1/3이상이 빙하에 의해 덮였다.
빙하의 형성은 바닷물이 직접 얼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해수의 증발에 의해 내리는 눈에 기원을 두고 있다 처음에 내린 눈은 눈송이 사이에 공기가 채워져 비중이 0.06~0.16 정도로 낮지만, 눈이 쌓이게 되면 자체의 무게로 압축되어 공기가 빠져나간다. 하나는 빙하가 발달하거나 후퇴시 침식과 퇴적 작용에 의해 생성된 빙하 지형이고, 또 다른 하나는 해수면의
상승 또는 하강 운동에 의해서 해안 및 하곡(河谷) 지형의 발달에 …(투비컨티뉴드 )
다. 이러한 지구적인 혹한기 동안에는 중위도 지역까지도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엄동의 시대를 맞고 있었다. 이와 같은 혹한의 시대를 빙하기 (Ice Age)라 하는데 빙하기가 우리에게 알려진 것은 불과 백년이 채 되지 않는다.
빙하 작용(Glaciation)
그림. 빙하빙의 현미경 사진. 얼음 결정내에 많은 기포가 보인다. 계속 눈이 쌓이여 수년이 경과하는 동안 눈은 녹기도 하고 다시 얼기도 하면서, 그리고 재결정 작용 등을 반복하면서 점점 치밀해지는데, 비중이 약 0.5에 이르게 되며, 이때 만년설(firn)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