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한국어 자음과 일본어 자음의 차이점 일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지도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1:23
본문
Download : 한국어 자음과 일본어 자음의 차이점 - 일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지도법.hwp
日本(일본)인에게 한국어는 모어(mother tongue)인 日本(일본)어와 문법 및 어휘적인 공통점이 많고 文化(culture) 적인 배경도 비슷하기 때문에 배우기 쉬울 뿐만 아니라, 그 배움을 통해 기대 이상의 소득을 얻을 수 있는 드문 언어라 할 수 있다아 즉 같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다면 다른 나라 말을 배웠을 때보다 훨씬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성취감이 커서 영어를 배울 때 느꼈던 좌절감이나 외국어에 대한 거부감을 극복할 수 있고, 외국어 학습의 보람과 기쁨을 더 많이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나라 말을 배우면 그 나라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고, 많은 것을 알게 되면 친근감이 생겨 호의적인 태도를 지니게 된다 아직까지 많은 日本(일본)인이 한국에 대해 알게 모르게 거리감을 가지고 있는데 이제 세계 전체가 블록화돼 가고 있는 추세에 언제까지나 그런 식의 태로를 취하고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인문사회 한국어 자음과 일본어 자음의 차이점 일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지도법
일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지도법 -입문 단계를 중심으로- 하세가...
Download : 한국어 자음과 일본어 자음의 차이점 - 일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지도법.hwp( 30 )
[인문사회] 한국어 자음과 일본어 자음의 차이점 일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지도법
일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지도법 -입문 단계를 중심으로- 하세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日本(일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지도법 -입문 단계를 중심으로- 하세가와 유키코(長谷川由起子) (오사카 외국어대학) . 머리말 日本(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뿌리 깊은 서양 지향적인 풍토와 한일간의 歷史적 사회적인 복잡한 관계로 인해 등한시되어 온 시기가 길었으나 한국의 국력 신장과 국내외의 여러 가지 여건 변화로 요 10∼15년 사이에 놀랍도록 활발해지고 있다2). 그 동안 한국어 교육 기회와 학습자 수는 꾸준히 늘고 있고 학습자 타입도 다양해졌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어 교육이 좋은 조건 하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日本(일본)인이 한국어와 한국을 앎으로써 한국인...
설명
순서





다. 학습 인구가 늘었다고는 하지만 영어(의무교육을 제외함)에 비하면 백분의 일, china어와 비교해도 십분의 일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기 때문에 어떤 기관에서나 경영상의 이유에서라도 질적 및 양적으로 충분한 교육을 실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고 日本(일본)어, 日本(일본) 文化(culture) 와 비슷한 한국어, 한국 文化(culture) 이기 때문에 그것을 배움으로써 자기 나라를 보다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도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