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호비(義號碑)와 상친사(尙親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10:22
본문
Download : 의호비(義號碑)와 상친사(尙親祠).hwp
“야!살구꽃이다. 이세간은 정성을 다해 아버지를 간호해 주었습니다.
의호비와상친사에대하여
%EC%99%80%20%EC%83%81%EC%B9%9C%EC%82%AC(%E5%B0%99%E8%A6%AA%E7%A5%A0)_hwp_01.gif)
%EC%99%80%20%EC%83%81%EC%B9%9C%EC%82%AC(%E5%B0%99%E8%A6%AA%E7%A5%A0)_hwp_02.gif)
의호비(義號碑)와 상친사(尙親祠)
의호비(義號碑)와 상친사(尙親祠)에 대한 자료(data)입니다. 그런데 그의 아버지가 병이 들어 자리에 눕게 되었습니다. 또한 상친사 뒤에는 의호비가 세워져 있고 상친사 앞에는 오도제가 지 어져 있다고 한다. 하나님 살라맛.”
이세간은 너무나 기뻐 빨리 살구꽃을 아버지께 …(생략(省略))
설명
Download : 의호비(義號碑)와 상친사(尙親祠).hwp( 63 )
,의약보건,레포트
의호비(義號碑)와 상친사(尙親祠)에 대한 자료입니다. 의호비와상친사에대하여 , 의호비(義號碑)와 상친사(尙親祠)의약보건레포트 ,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다.
“아버지의 병이 나을 수 있는 약이 무엇입니까?”
하고 사람들에게 물어 보았습니다.
◎ 소재지
금릉군 조마면 신곡동 백화동마을
◎ 도움말
이세간과 의호: 롱서인 남강 이세간은 효자로 부친 산소에 시묘중 엄동설한에 호랑이
가 그를 감싸 안아 동사를 면하게 한 뒤로부터 그와 함께 집에서 살았는데 , 하루는 호랑이가 없어져 찾다가 성주 땅에서 덫에 걸려 사람들에게 잡히려는 것을 구해 돌아 왔는데 ,그 후 세간이 죽자 호랑이는 먹지 않고 울면서 굶어 죽어 주인의 뒤를 따랐다
하며 뒤에 이곳에 효자 이세간을 모시는 상친사를 짓고(1901) 대문채 벽에 호랑이 화상을 그렸다.
◎ 지도내용
- 효자동의 기원가 담긴 동화 들려 주기
- 부모임을 공경하는 마음 기르기
- 상친사와 의호비의 위치 알기
◎ 지도방법
호랑이가 아는 효자
옛날 어느 마을에 이세간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정성에 하늘도 감동하였는지 어느 날 자고 일어나 보니 앞마당에 살구꽃이 활짝 피어있었습니다. 사람들은
“그 병에는 살구꽃이 잘 들어요. 그런데 이 추운 겨울에 살구꽃을 볼 수 없으니
어떡하지…….”
하고 걱정해 주었어요.
이세간은 매일 밤마다 물을 떠 놓고 하늘을 향해
“ 하나님, 저희 아버지를 살릴 수 있도록 살구꽃을 피워 주십시오.”
하고는 정성껏 빌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