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학기 서사문학의이해와창작 기말시험 point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4 05:10
본문
Download : 20181_기말_국문3_서사문학의이해와창작.pdf
물론 사건이 있으려면 인물과 인물의 행위가 있어야 함
② 인물, 사건, 배경의 세 요건을 갖추어야 성립함
③ 서술자는 사건을 전하는 중계인
(1) 문학이란 무엇인가
제10장 퇴고
몸짓
② 사건을 펼쳐서 전달해야 하므로 시간의 소요도 많고, 일정하게 정형화하기 어려움
서정시(서정문학)
표출(동작의 우세)
③ 서사, 즉 이야기를 핵심 내용으로 이루어진 양식을 서사텍스트, 혹은 서사물, 서사체 등으로 부름
⑤ 이야기는 서사문학의 내용을 이루고, 이야기를 하는 사람(서술자, 화자, story-teller, narrater)은 서사문학의 형식을 이룸
원래의 표현 수단
① 이야기란 ‘인물과 사건, 그리고 배경을 갖춘 덩어리’
제3장 주제 정하기
순서
② 연극이나 뮤지컬도 스토리를 내용으로 삼고 있지만, 서술자의 중계 과정 없이 바로 직접 배우들의 행위로 보여주므로 서사문학 텍스트는 아님
①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를 주요한 전달 대상으로 삼으면서 그 이야기의 과정을 재미로 여기는 말하기의 한 형식
② 이야기하는 사람
② 소설이 속하는 서사양식에서는 이야기가 핵심적 요소





노래
(4) 서사문학, 서사텍스트, 내러티브
③ 말하기를 예술화하려면 형식이 필요 (말하기의 형식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이 노래 부르기와 이야기하기)
①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소통 과정이 이야기하기의 필수 요건
방송통신 > 기말시험
① 구비문학 + 문자문학
② 문학은 허구적 언어 표현
① 최근에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모든 것을 서사텍스트로 보려는 경향이 있음
서사시(서사문학)
① 서사문학: 이야기를 주고받는 상황을 글로 옮긴 것, 비록 글로 쓰였지만 그 안에는 이야기하는 사람의 목소리가 숨어있음
(1) 서사문학이 되기 위한 조건
2018년 1학기 서사문학의이해와창작 기말시험 point체크
④ ‘이야기하는 사람’을 ‘서술자’로 부르기로 함. 곧 1인칭 서술자, 3인칭 서술자 등으로 사용함
제1장 서사문학의 이해 제2장 서사문학 창작을 위한 예비학습 제3장 주제 정하기 제4장 스토리 만들기 - 인물 제5장 스토리 만들기 - 사건 제6장 플롯 짜기 제7장 스토리 만들기 - 배경 제8장 서술하기 제9장 시나리오 창작 제10장 퇴고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방통대,방송대,기말시험,방통대기말시험,방송대기말시험,방송통신대기말시험,서사문학의이해와창작,서사문학의이해와창작기말,서사문학의이해와창작기말시험
④ 오늘날의 서사학은 다양한 양식들을 적극적으로 서사문학에 포함시키며, 영화나 애니메이션, 혹은 CF 등을 영상 문학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서사 텍스트 창작의 대상으로 연구하기도 함
웅변
(2) history와 서사문학의 차이
설명
④ 감각이나 감정에 의존하기보다는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세계의 질서나 삶의 원리를 주된 대상 내용으로 삼게 됨
- 서정양식: 향가, 시조, 창가, 서정시 등
history
1) 이야기하기가 성립하기 위한 조건
③ 판소리는 매우 독특한 서사양식. 판소리는 음악이기도 하고 연극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서사 양식이기도 함
서술(이야기의 우세)
2. 서사문학이란 무엇인가
⑥ 가장 강력하게 주류 문화로 부상한 서사문학은 소설임
- 중 략 -
③ 문학이 허구를 대상으로 삼아 표현하는 이유는 진실을 더 포괄적으로 다양하게 추구할 수 있기 때문임
1) 문학
(1) 이야기하기와 서사문학
비허구적 표현 장르
제6장 플롯 짜기
(3) 서술자란 무엇인가
제7장 스토리 만들기 - 배경
④ 이야기와 더불어 이야기하는 사람, 즉 화자(story-teller)의 존재가 필수적임
다. 제1장 서사문학의 이해
말
(2) 이야기, 스토리, 서사
제8장 서술하기
명상(음악의 우세)
② history와 서사문학을 가르는 중요한 경계선은 허구인가 아닌가에 달려 있음. history와 서사문학은 둘 다 이야기가 우세한 언어표현물이지만, history는 비 허구적인 것이고 서사문학은 허구적인 것임
Download : 20181_기말_국문3_서사문학의이해와창작.pdf( 83 )
극시(극문학)
제4장 스토리 만들기 - 인물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2) ‘이야기하기’
② ‘말로 된 문학’에서 ‘글로 된 문학’으로 발전
- 극양식: 탈춤, 인형극, 드라마(희곡), 방송대본, 시나리오 등
⑤ 서구의 문학사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출발한 이 3분법이 오랫동안 일반적인 장르론으로 굳어져 왔음
제1장 서사문학의 이해
(3) 말에서 글로, 이야기하기의 형식
③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시는 행위를 모방하는 것’, 즉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을 모방하여 새롭게 만들어 내어야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음.
3. 서사문학의 구조
③ 이후 본 교재에서는 앞으로 ‘이야기’라는 용어보다 ‘스토리’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기로 함. 서사문학, 서사시, 서사물, 서사적 이해 등으로 사용할 때 ‘서사’는 스토리와 같은 의미를 가짐
①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 (편지나 자서전, 신문기고문, 논설 등)
⑤ 이야기는 본질적으로 소통의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성격보다는 사회적인 성격이 강함
제2장 서사문학 창작을 위한 예비학습
제5장 스토리 만들기 - 사건
② 발신자와 수신자만 있어서는 의미가 없고, 그 사이에 소통되는 어떤 내용이 있어야 함. 즉 이야기(스토리) 자체가 필요
허구적 표현 장르
→ 문학이란, ‘인간의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를 이용하여 허구적으로 표현한 것’
③ 대신 풀어서 이야기하는 형식이므로 인간의 문제를 직접적이고 다양하게 담을 수 있음
1. 서사문학의 관념
① 신화, 전설, 민담, 서사시, 소설 등이 서사양식에 속함
철학
① ‘history는 있었던 일을 기록하는 것이고 문학은 있을 수 있는 일을 기록하는 것. 따라서 문학이 history보다 더 철학적이고 풍부하다.’
④ 실제 모습 그대로가 아닌 ‘모방은 바로 허구’를 의미
- 당연히 작가와 다른 누군가임. 작가가 아닌, 어느 누군가가 이야기하는 사람이 되어서 텍스트 안에 들어 있는 것
- 지칭하는 용어로는 ‘스토리텔러(story-teller)’, 화자(話者) 혹은 내레이터(narrater)라 부르기도 함
제9장 시나리오 창작
③ 이야기라는 내용물은 하나 이상의 사건을 담고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