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설화로 본 외세(육지)와 제주민중 간의 갈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6 23:17
본문
Download : 풍수설화로 본 외세(육지)와 제주민중 간의 갈등.hwp
보고서 작성에 여러모로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좋은 하루 보내시고 늘 행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보고서 작성에 여러모로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좋은 하루 보내시고 늘 행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 풍수설화로 본 외세(육지)와 제주민중 간의 갈등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제주도설화에 대상으로하여 풍수설화를 통해 외세(육지)와 제주민중간의 갈등, 그리고 제주도의 불모성을 살펴본 자료(data)입니다. 제주시에서 중문 방면으로 가는 제2횡단도로 옆에 아흔 아홉골이란 크고 작은 골짜기와 봉우리들이 즐비하게 늘어 선 지형이 있는데, 이곳은 원래 100골이 있고, 또 그 안에는 맹수도 많이 살았었는데 한…(drop)
풍수설화로 본 외세(육지)와 제주민중 간의 갈등
%EC%99%80%20%EC%A0%9C%EC%A3%BC%EB%AF%BC%EC%A4%91%20%EA%B0%84%EC%9D%98%20%EA%B0%88%EB%93%B1_hwp_01.gif)
%EC%99%80%20%EC%A0%9C%EC%A3%BC%EB%AF%BC%EC%A4%91%20%EA%B0%84%EC%9D%98%20%EA%B0%88%EB%93%B1_hwp_02.gif)
%EC%99%80%20%EC%A0%9C%EC%A3%BC%EB%AF%BC%EC%A4%91%20%EA%B0%84%EC%9D%98%20%EA%B0%88%EB%93%B1_hwp_03.gif)
%EC%99%80%20%EC%A0%9C%EC%A3%BC%EB%AF%BC%EC%A4%91%20%EA%B0%84%EC%9D%98%20%EA%B0%88%EB%93%B1_hwp_04.gif)
%EC%99%80%20%EC%A0%9C%EC%A3%BC%EB%AF%BC%EC%A4%91%20%EA%B0%84%EC%9D%98%20%EA%B0%88%EB%93%B1_hwp_05.gif)
설명
제주도설화에 대해서 풍수설화를 통해 외세(육지)와 제주민중간의 갈등, 그리고 제주도의 불모성을 살펴본 자료입니다.
2. 풍수설화에서 본 외세에 의한 제주도의 불모성
고종달 설화처럼 직접적인 단맥설화 외에도 보다 상징적으로 외세에 의한 제주도의 불모성을 설명(說明)하고 있는 전설이 있따 ‘아흔 아홉골 전설’이 그 한 예다.,인문사회,레포트
순서
Ⅰ. 서론
Ⅱ. 본론
1. 풍수설화(고종달 전설)로 본 외세(육지)와 제주민중간에 대결의식
2. 풍수설화에서 본 외세에 의한 제주도의 불모성
3. 풍수설화로 본 가난에 대한 저항의식
Ⅲ. conclusion
이러한 일련의 변이형을 통해서 고종달의 단혈에 대한 설화 향유자들의 의식을 엿볼 수 있따 즉, 제주가 불모의 땅이 된 것은 중심부 세력(中國왕이든, 고려왕이든)의 폭력의 결과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따 여기에 대국에 대한 제주민중들의 인식이 저항적 측면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따
고종달 전설은 제주와 외부를 대립적인 관계로 인식하면서 제주의 history(역사) 는 강한 외부 세력의 억압과 침탈에 의해 훼손되어 왔음을 설명(說明)하고 있따 또한 제주민중들은 불리한 자연조건으로 당해야 하는 어려움까지 그 원인(原因)을 고종달의 단맥에 돌리고 있으면서 한편으로는 제주를 대국과 대등한 입장에서 인식했다는 점에서 제주민중들의 외부에 대한 저항과 자존의식을 동시에 드러내 놓고 있는 것이다.
Download : 풍수설화로 본 외세(육지)와 제주민중 간의 갈등.hwp( 57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