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학기 Japan사회문화의이해 중간시험課題물 공통(미나미 히로시의 Japan인의 심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3-22 02:33
본문
Download : 20142_중과_일본1_일본사회문화의이해_공통.zip
이 책에서 필자는 日本(일본)인의 심리에 대해 일반적인 가설이나 理論(이론)을 세우려고 하지는 않았다. 이는 저자가 이 책을 쓴 이유에서도 드러나고 있다아
5. Japan인의 정신주의와 육체주의에 대한 논의
설명
2014년 2학기 Japan사회문화의이해 중간시험課題물 공통(미나미 히로시의 Japan인의 심리)
Ⅲ. 결 론
Ⅱ. 본 론
미나리 히로시의 『일본인의 심리』 (남근우 역, 2005, 소화)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일본인의 자아에 대한 논의 2. 일본인의 행복관에 대한 논의 3. 일본인의 불행관에 대한 논의 4. 일본인의 비합리주의와 합리주의에 대한 논의 5. 일본인의 정신주의와 육체주의에 대한 논의 6. 일본인의 인간관계에 대한 논의 Ⅲ. 결 론 참고문헌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파일> 1. 세계의 흐름에 역행하는 일본의 심리.hwp 2. 일본인의 개인심리와 집단심리.hwp 3. 일본인의 심리.hwp
Ⅰ. 서 론
저자 ‘미나미 히로시’는 日本(일본)의 대표적인 심리학자이다.
- 목 차 -
이 책은 제목 그대로 日本(일본)인의 심리를 서술하고 있는데, 거창한 理論(이론)을 세우기보다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 것이 최대의 장점(長點)이다.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data)파일>
Download : 20142_중과_일본1_일본사회문화의이해_공통.zip( 24 )
Ⅱ. 본 론
1. 세계의 흐름에 역행하는 Japan의 심리.hwp
2. Japan인의 행복관에 대한 논의
미나리 히로시의 『Japan인의 심리』 (남근우 역, 2005, 소화)
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이번에는 거꾸로 日本(일본)인을 3, 4등 국민으로 낮춰보는 자학적 열등감에 가득 찬 感想文(감상문) 이 눈에 띄기 처음 했다.
6. Japan인의 인간관계에 대한 논의
Ⅰ. 서 론
2. Japan인의 개인심리와 집단심리.hwp
- 중략 -
방송통신 > 중간과제물
참고문헌
순서
4. Japan인의 비합리주의와 합리주의에 대한 논의





1. Japan인의 자아에 대한 논의
3. Japan인의 불행관에 대한 논의
일본사회문화의이해,일본사회문화의이해과제물,방통대일본사회문화의이해,방송대일본사회문화의이해
3. Japan인의 심리.hwp
지금까지 日本(일본)인의 국민성이나 민족성에 관한 많은 觀察(관찰) 과 연구가 있었다. 저자는 특히 “日本(일본)인”이라는 주제를 평생의 연구 주제로 삼아서, 우리나라에도 그의 저서가 많이 번역되어 있다아 예를 들어 이 한림신서 日本(일본) 학 총서의 경우에도 제3권(日本(일본)적 자아), 제4권(日本(일본)인의 심리), 제40권, 제41권 (日本(일본)인 론 상․하) 4권이 그의 저서이며, 기타 “다이쇼 文化(culture) ”, “심리학 이야기”가 번역되어 나왔다. 日本(일본)인에 대한 책이 많은 것은 日本(일본)인 스스로가 자신들에 관련되어 알고 싶어 하는 성격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외국인의 경우는 무엇보다 환경이 다르고 언어가 자유롭지 못한 탓에 日本(일본)인의 심리를 제대로 파악하기 쉽지 않다. 그중에는 日本(일본)인에 의해 써진 것도 있고 외국인의 눈에 비친 日本(일본)인 묘사도 있다아 예전에 日本(일본)인이 쓴 것 중에는 日本(일본) 민족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한 글들이 적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