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경’류의 통사 대조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0:35
본문
Download : 중어중.hwp
현대china(중국) 어 비교정도부사 china(중국) 어통사 china(중국) 어부사 / (중문학)
설명
3. 피수식 성분과의 공기여부
1. 서론
한·중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경’류의 통사 대조 分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2. 피수식어
2.1. 비교표시 부사
이 글의 논술 범위는 현대 중국(中國)어와 현대 한국어의 비교 정도 부사를 대상으로 한다. 이때 기술상의 편의를 위하여 상용도가 제일 높은 한국어의 ‘더’와 ‘更’ 北京语言学院의 语言教学研究所에서 王还 등(1986)이 펴낸 󰡔现代汉语频率词典󰡕에서 ‘更’은 사용도가 제일 높은 8000 개의 단어 가운데 125위이며, 본고에서 다루고자하는 ‘비교 정도 부사’가운데서는 1위이다.
3.3. 특수 술어
3.2. [+동태성] 술어
4. 결론
순서
현대중국어 비교정도부사 중국어통사 중국어부사 / (중문학)
Download : 중어중.hwp( 69 )
3.1. [-동태성] 술어
2. 부사와 피수식 성분 analysis(분석)
현대중국어 비교정도부사 중국어통사 중국어부사
다. 拙稿(1999)는 ‘절대성 정도’를 표시하는 부사 ‘很’과 ‘매우’의 대조 analysis(분석) 을 이미 시도한 바 있따 ‘更’과 ‘很’ 그리고 ‘더’와 ‘매우’는 모두 정도부사라는 점에서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예견할 수도 있따 그러나 ‘更’과 ‘더’는 정도부사 가운데서도 [+비교]의 특질을 가지므로 ‘수량, 빈도, 비교대상’ 등의 몇 가지 문제가 더 대두된다고 본다.을 대표로 하여 논술한다. 그 이유는 이들 두 비교 정도부사가 두 언어에서 각각 통사·의미적으로 비교적 동질성을 보이기 때문일것이다
參考文獻 본 논문은 한·중 양어의 비교 정도 부사 서정수(1996:486-587)도 ‘더’를 ‘비교 정도 부사’로 칭하였고, ‘견줌의 대상에 이어지는 비교 서술을 한정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의 용법에 관한 대조analysis(분석) 을 통하여 중국(中國)어 교육과 학습에 기여함을 goal(목표) 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