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의(定義) 변천사 (요약정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08:37
본문
Download : 교육과정의 변천사 (요약정리).hwp
• 교수 요목기에 없어졌던 국민학교의 실과가 다시 부활되었다.
3.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4)
4.19 혁명에 이어 5.16 군사혁명까지 일어난 사회적 혼란 속에 혁명政府(정부)의 교육에 관한 특별조치가 시행되어 군사정권의 주도하에 여러 가지 제도가 개편 되었으며 교육과정 개정이 중요성을 인식, 1961년 8월 교육과정 시안을 작성하게 되었으며 협의를 거쳐 1963년 2월 15일 제2차 교육과정이 공포되었다.
특징
• 교과의 지도내용을 상세하게 표시하고, 기초 능력을 기르는 데 주력하였다. 유용하게 활용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2. 제1차 교육과정기 (1954~1963)
광복이후 일반사회가 점차 안정됨에 따라 교육도 정상적인 괘도에 오르기 처음 하여 1954년 4월 29일 ‘국민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사범학교 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령’이 공포되었고 1955년 8월 1일 ‘국민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 과정’이 공포되어 이를 제1차 교육과정이라고 지칭하게 되었다. 유용하게 활용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교과는 분과주의를 선택하여 체계적인 지도와 지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교육과정의(定義)변천사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1. 교수요목기(1946~1954)
2. 제1차 교육과정기 (1954~1963)
3.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4)
4.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5.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6. 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7. 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9)
8. 제7차 교육과정기(2000~ )
1. 교수요목기(1946~1954)
1945년 9월 24일에 국민학교를 그리고 10월 1일에 중학교 문을 열게 되자 미 군정청 학무국에서는 교수요목 제정위원회를 조직하여 국민학교와 중학교의 ‘교과목 편제와 시간배당표’를 발표하고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교수요목기의 교육과정과 대체로 유사하나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아
• 국민학교, 중학교에서 전체 교과 및 교육활동 전반에서 도의 교육이 강조되었다.
• 우리 나라의 교육 이념인 홍익인간의 정신에 입각한 애국애족교육을 강조하였다.
• 학과 과정 구성의 원칙을 필수 최소량이 제시되었다.
• 일제의 잔재를 없애고자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교육과정의변천사 , 교육과정의 변천사 (요약정리)사범교육레포트 ,
,사범교육,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순서
다.
• 모든 학교급에서 특별활동이 교과 편제에 신설되었다.
교육과정의(定義) 변천사 (요약정리)
Download : 교육과정의 변천사 (요약정리).hwp( 33 )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定義) 변천사에 상대하여 중요내용만 간추려서 깔끔하고 심플하게 요약정리한 자료(資料)입니다.
• 교육과정이 내용에서는 자주성, 생산성,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 합리…(skip)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 변천사에 대해서 중요내용만 간추려서 깔끔하고 심플하게 요약정리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