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도산법제정의의의와통합도산법주요내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09:18
본문
Download : 통합도산법제정의의의와통합도산법주요내용.hwp
그리고 회생계획 인가 전에 회생절차가 폐지되거나 회생계획에 대해 불
인가 …(투비컨티뉴드 )
다.
설명
순서
통합도산법제정의의의와통합도산법주요내용
통합도산법제정의의의와통합도산법주요내용통합도산법제정의의의와통합도산법주요내용 , 통합도산법제정의의의와통합도산법주요내용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통합도산법제정의의의와통합도산법주요내용.hwp( 67 )
통합도산법제정의의의와통합도산법주요내용
레포트/경영경제
통합도산법제정의의의와통합도산법주요내용






,경영경제,레포트
통합도산법 제定義(정의) 의의와 통합도산법 주요내용
목차
Ⅰ. 통합도산법 제定義(정의) 의의
Ⅱ. 통합도산법의 주요 내용
1. 총칙
1) 필요적 파산제도 축소
2) 채권자협의회의 기능 확대
3) 채무자의 재산조회 강화
2. 회생절차
1) 관할의 확대
2) 회생절차 개시결정시 채무자의 재산 중 등기된 권리에 관한 등기, 등록 촉탁 폐지(파산절차에도 해당)
3) 포괄적 금지명령제도의 신설
4) 인수합병의 활성화 : 요약계획 인가 전 영업양수도
(1) 의의
(2) 요건
(3) 절차
5) 영업양도계약의 내용
6) 기존 경영자관리인제도 도입
(1) 선임원칙
(2) 선임의 예외사유
7) 부인권대상 확대
8) 지급결제제도 등에 대한 특칙
9) 채권조사 확정절차의 改善(개선)
10) 청산가치 보장에 관한 규定義(정의) 신설
I. 통합도산법 제定義(정의) 의의
재정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한 채무자를 둘러싸고 있는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도산관계 법규는 그 목적에 따라 채무자의 사업 또는 경재활동을 재건하는 재건형 절차와, 채무자의 재산을 분리 · 처분 · 환가하여 이를 채권자에게 평등하게 배분하는 청산형 절차로 구분할 수 있다아
전자에 관한 법률의 경우 과거에는 회사요약법이나 화의법으로 이원화되어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 상시적인 기업 회생제도로는 미흡하였으며, 후자에 관한 법으로는 파산법으로 각각 구분· 운영되어 왔는데, 2005년 3월 31일 법률 제7428호로 공포되어 2006년 4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통상 `통합도산법`이라고 한다)은 이러한 지적을 改善(개선) 하고 국제적 기준에 맞도록 도산절차를 신속화· 합리화하기 위하여 이원화된 회생형 절차를 단일화하였다.
이에 통합도산법에서는 법 적용대상에 있어 회생 및 파산절차는 개인 · 법인 구별 없이 모든 채무자를 대상으로 하나의 절차에 의하여 회생시키거나 퇴출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통합도산법은 국제기준에 맞는 국제도산 절차를 신설함으로써 국내에서 진행 중인 도산절차와 외국 도산절차의 조화를 꾀하여 채권자의 유효하고 공평한 구제를 도모하고 채무자 기업의 실효적인 회생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아
II. 통합도산법의 주요 내용
1. 총칙
1) 필요적 파산제도 축소
종전의 회사요약법은 요약절차가 폐지되거나 요약계획이 불인가된 경우
법원이 직권으로 파산선고를 하도록 되어 있는데, 통합도산법에서는 회생
계획 인가 후의 회생절차 폐지의 경우에만 필요적 파산선고를 하고 나머지
의 경우 임의적 파산선고를 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적 파산제도가 축소되었
다.
종전의 회사요약법은 주식회사 중에서 대규모기업을 중심으로 운영된 반면, 화의제도는 주식회사 등 대기업이 이용하기 곤란한 결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