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 / 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 1. 머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21:11
본문
Download : 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hwp
]K ]NP
Download : 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hwp( 60 )
우리말로서 자연스러운 언어표현인 ‘-이(다)’구문의 논의는 대체로 품사 설정과 관련된 형태·음운론적 논의였으나, 최근 들어 문법 범주 설정과 관련된 난상 토론이 벌어지고 있으며,1) ‘-이(다)’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 NP₁-은 [ NP₂+ [-이다...
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 / 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 1. 머리
순서
설명
(2) ㄱ. 독서는 마음의 [[양식]이]다.
1. 머리말





(1)에서 형태소 ‘-이-’2)가 어느 성분에 붙느냐에 따라 통사적 층위가 달라진다.
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 1. 머리말 우리말의 형태상 property(특성)은 교착어이다...
다.
만약 ‘-이-’를 파생접사로 본다면, 위의 예문 (2)에서와 같이 형태소 ‘-이-’가 교착되는 층위, 즉 ‘양식’이나 ‘마음의 양식’이냐에 따라 (2ㄱ) 또는 (2ㄴ)과 같이 ‘N+ {-이-}’나 ‘NP+ {-이-}’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언어 유형적 특성(特性)과 차이를 보이는 것들 가운데 많은 논쟁거리가 된 것 중 하나가 ‘-이(다)’와 관련된 논의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가. NP₁-은 [ NP₂+ [이-]V]VP + -다.
라. NP₁-은 [ NP₂-이-]NPv + -다.
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 1. 머리말 우리말의 형태상 특성은 교착어이다.6) 그리고 (1다)와 같이 형태소 ‘-이-’가 NP₂뒤에 붙어 다시 명사구가 된다면 ‘주격조사’7)로 처리할 수 있으며, (1라)와 같이 명사구의 자격을 바꾸어 문장종결소인 ‘-다’가 교착된 구문으로 본다면 ‘-이-’는 ‘파생접사’8)로 기술할 수 있을 것이다.
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
ㄴ. 독서는 [[마음의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말에서는 용언 어간의 항가에 따라 명사구가 생성되고, 그 명사구에 조사가 붙어 문장성분을 형성한다. 즉, (1가)와 같이 ‘-이-’ 단독으로 독립된 하나의 문법범주로 기능한다면 ‘용언의 어간’3)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4) (1나)와 같이 ‘-이다’가 NP₂뒤에 붙는 하나의 형태소로 간주한다면 ‘서술격 조사’5)가 될 것이다.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 / 통사 구조와 의미 기능 1. 머리
다. NP₁-은 [ NP₂-이-]NP + -다.
이 논문에서는 ...
우리말의 형태상 특성(特性)은 교착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