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찰 표기] 차자 표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6:49
본문
Download : 관련자료1-2.hwp
여기서 문장이 우리말어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ꡐ…(drop)
1. 이두(吏頭) 표기, 2. 향찰 표기, 3. 차자 표기 정리, , 다운로드 : 22K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관련자료1-2.hwp( 97 )
[향찰 표기] 차자 표기
향찰표기,향찰표기,향찰표기,인문사회,레포트
다. 吏讀는 그 명칭이 吏吐, 吏道, 吏書 등으로 나타난다.
순서
1. 이두(吏頭) 표기, 2. 향찰 표기, 3. 차자 표기 정리, , FileSize : 22K , [향찰 표기] 차자 표기인문사회레포트 , 향찰표기 향찰표기 향찰표기
설명
1. 이두(吏頭) 표기
2. 향찰 표기
3. 차자 표기 요점
♠이두(吏頭) 해설1. 우리말을 표기하려는 노력이 고유명사 표기에 이어 문장을 표기하려는 노력으로 발전한 것이 吏讀이다. 신라의 금석문 같은 곳에서 발견할 수 있으나 첫 싹은 고구려에서 튼 것으로 생각된다된다. 이두는 한문이 극도로 우리 나라 말 식으로 고쳐진 것으로 단어의 배열이 국어의 문장 구조를 따르고 조사와 어미까지 표기한 것이다. 경주 남산의 신성비(591)에서 ꡐ辛亥年二月二十日 南山新城作節 如法以作 後三年崩破者 罪敎事爲聞敎令誓事之ꡑ라는 구절을 볼 수 있는데 ꡐ신해년 3월 26일 남산 신성을 지을 제 법대로 지은 후 3년에 붕파 하면 죄 주실 일로 삼아 듣게 하시고 맹세하게 하다ꡑ와 같이 해석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