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대남strategy 및 통일기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21:41
본문
Download : 북한의 대남전략 및 통일기조.hwp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여전히 ‘하나의 조선’이라는 통일관에 입각, 통일문제를 오직 ‘해방’과 ‘혁명’의 논리에서만 접근하여 왔다. 남북한은 통일문제에 대한 기본인식의 접근을 위해 7.4 남북공동성명에서 통일 3원칙(자주?평화?민족대단결)에 합의한 바 있다 그리고 남북기본합의서에서 이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남북 화해와 협력의 기초로서 서로 상대방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하기로 합의했다. 그 논리에 따르면 북한은 ‘전 조선혁명’을 위한 혁명기지이고, 남한은 미제국주의자들의 강점하에 있는 미(未)해방지구로서 혁명투쟁의 현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처럼 북한의 입장에서 보면 남한은 ‘해방’과 ‘혁명’의 대상일 뿐이다.
이 같은 그들의 통일방식과 통일목표(goal)는 북한 체제의 최고 규범인 로동당규약 전문에 다음과 같이 명文化(문화)되어 있다
“조선로동당의 당면목표(goal)는 공화국 북반부에서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를 이룩하여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과 인민민주주의 혁명과업을 완수하는 데 있으며 최종목적은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와 공산주의사회를 건설하는 데 있다 ”
2. 선 남조선혁명 후 공산화통일 정책
이와 관련,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1997년 8월 4일 통일문제에 관한 북한의 입장을 집약한 논문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조국통일 유훈을 철저히 관찰하자”에서 ‘조국통일 3대원칙’,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方案’, ‘전민족대단결 10대강령’을 ‘조국통일 3대헌장’으로 규정한 바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통일의 당사자인 남과 북이 합의한 문서는 3대헌장 가운데 7.4남북공동성명뿐이다.북한의 대남전략 및 통일기조 , 북한의 대남전략 및 통일기조인문사회레포트 , 북한 대남전략 통일기조
북한의 대남strategy 및 통일기조
북한,대남전략,통일기조,인문사회,레포트
북한의 대남strategy 및 통일기조


순서
북한의 대남戰略 및 통일기조
1. 들어가며
북한은 조선로동당의 최종 목적이 한반도 전체의 주체사상화 및 공산주의 사회를 건설하는데 있다고 주장하면서 대남적화통일戰略이라는 통일정책 기조를 변함없이 고수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1960년 초부터 연방제 통일方案을 주장해 왔다.
…(drop)
Download : 북한의 대남전략 및 통일기조.hwp( 20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기본적으로 북한의 목표(goal)는 민족해방과 계급투쟁을 통해 한반도를 적화 통일시키는 데 있는 것이다.
이 같은 그들의 통일방식과 통일목표(goal)는 북한 체제의 최고 규범인 로동당규약 전문에 다음과 같이 명文化(문화)되어 있다
“조선로동당의 당면목표(goal)는 공화국 북반부에서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를 이룩하여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과 인민민주주의 혁명과업을 완수하는 데 있으며 최종목적은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와 공산주의사회를 건설하는 데 있다 ”
2. 선 남조선혁명 후 공산화통일 정책
이와 관련,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1997년 8월 4일 통일문제에 관한 북한의 입장을 집약한 논문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조국통일 유훈을 철저히 관찰하자”에서 ‘조국통일 3대원칙’,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方案’...
북한의 대남戰略 및 통일기조
1. 들어가며
북한은 조선로동당의 최종 목적이 한반도 전체의 주체사상화 및 공산주의 사회를 건설하는데 있다고 주장하면서 대남적화통일戰略이라는 통일정책 기조를 변함없이 고수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1960년 초부터 연방제 통일方案을 주장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