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문학] ‘향’ 개사구조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8 23:14
본문
Download : 중어중문과_78.hwp
왜냐하면 ‘向’의 두 의미 기능 사이에는 완연히 다른 異質性이 인식되기 보다는 어떤 共通性이 느껴지기 때문일것이다 즉 ‘…(투비컨티뉴드 )
순서
1. 머리말 4. ‘NPs+V+向+NP+’ 문형, 2. ‘向’ 介詞構造의 어법의미 5. 맺는말, 3. ‘NPs+向+NP+V’ 문형 , , 자료를내려받다 : 35K
설명
1. 머리말 4. ‘NPs+V+向+NP+’ 문형, 2. ‘向’ 介詞構造의 어법의미 5. 맺는말, 3. ‘NPs+向+NP+V’ 문형 , , FileSize : 35K , [중문학] ‘향’ 개사구조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개사구조 동작행위대상 중국어






[중문학] ‘향’ 개사구조에 관한 연구
개사구조,동작행위대상,중국어,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Download : 중어중문과_78.hwp( 48 )
1. 머리말 4. ‘NPs+V+向+NP+’ 문형
2. ‘向’ 介詞構造의 어법의미 5. 맺는말
3. ‘NPs+向+NP+V’ 문형
‘向’을 그 의미 기능에 따라 ‘동작의 방향이나 도달하려는 처소’를 나타내는 介詞, ‘동작 행위의 대상’을 나타내는 介詞로 분류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방법도 적절한 해결책은 아닌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