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음 연구와 번역 술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19:19
본문
Download : 국어 음 연구와 번역 술어.hwp
15세기의 음 theory(이론)은 물론이고 한글과 한글 표기법조차도 구미 theory(이론)에 근거한 번역 술어들로 주로 논의되고 기술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일것이다 예컨대, 한글 자모는 ‘자음/모음’이나 ‘닿소리/홀소리’로 흔히 분류되고, 표기 원리는 ‘음소적원리/형태음소적원리’ 등으로 이해, 기술되고 있따 이것은 불가피한 현상도 아니고, 바람직한 현상은 더더욱 아닌것이다 . 이것은 극복되고 改善되어야 할 현상일 뿐이다.
주지하듯이, 훈민정음 창제 방법론의 the gist적 내용으로 음(절)의 삼분법을 꼽을 수 있따 즉 한 음(절)을 초성과 중성 그리고 종성으로 分析, 인식한 것인데, 이러한 음 인식(分析) 방법은 당시의 다른 theory(이론) 즉 china의 성운학과도 다른 것이었고, 현대의 구미 이…(생략(省略))
우리는 ‘한글’이라는 고유 문자를 사용하고 있고, 그것을 아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한글 표기법(맞춤법) 역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우리가 한글을 버리고 로마자를 대신 사용하지 않는 한, 전통적인 음 theory(이론)을 버리거나 소홀히 취급할 수 없다는 점이 자명해진다. 그랬을 때 그 원동력이나 방법론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창제 당시의 음 theory(이론)과 그것을 좀더 발전시킨 theory(이론) 바로 그것일 수밖에 없다.
Download : 국어 음 연구와 번역 술어.hwp( 62 )






레포트/인문사회
우리는 ‘한글’이라는 고유 문자를 사용하고 있고, 그것을 아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그것이 당시의 다른 theory(이론) 즉 china의 성리학과 성격이 다른 것이었음도 이미 알려져 있따 따라서 당시의 음에 대한 시각과 theory(이론)을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 혹은 이용하지 않으면 한글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거나 기술할 수 없다. 고유 문자의 보유 그 자체만으로도 자랑스러운 일이지만, 그 ...
국어 음 연구와 번역 술어
설명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것 역시 15세기에 결정된 기본적인 틀(예컨대 모아쓰기 방식 등)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우리는 한글을 앞으로도 계속 사용하고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작금의 reality(실태) 는 그런 당위론조차 아주 무색하게 만들 지경이다. 주지하듯이, 한글은 이미 550여년 전에 창제된 것이다. 창제 방법론의 주요 내용은 국어음에 과학적인 연구와 인식이었다. 고유 문자의 보유 그 자체만으로도 자랑스러운 일이지만, 그 ... , 국어 음 연구와 번역 술어인문사회레포트 ,
우리는 ‘한글’이라는 고유 문자를 사용하고 있고, 그것을 아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고유 문자의 보유 그 자체만으로도 자랑스러운 일이지만, 그 세부적인 내용 즉 문자 체계나 그것의 창제 방법 등을 알고 나면 긍지는 더욱 높아지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