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신학과정신분석학의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06:01
본문
Download : 기독교신학과정신분석학의관계.hwp
레포트/인문사회
• 생산적 무드와 부정적인(malignant) 무드
어떤 무드들은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정신현상임. 무드에 있을 때 개인의 전체자기(total self)의 한 부분이 자폐적 상태로 후퇴하는데 이로써 하나의 복합적인 내적 project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to work itself through) 시간과 공간이 제공되어짐. 무드의 기능과 울타리의 질에 따라 긍정성 여부가 결정. 생산적 무드는 부정적 무드와 달리 자기 기능을 타인으로 하여금 담당하도록 강요하지 않음. 부정적인 무드는 기능적인 면에서 우선적으로 타인에게로 향함. 즉 자기에게 중요한 타자에게 influence을 끼치기 위하여 무드 경험을 이용하는 것임. 생산적 무드에 있어서 그는 말없고 알려지지 않은 어린이 자기(mute, unknown child self) 와 접촉하기 위하여 그래서 자기에 대한 앎을 생산하기 위해 무드에 들어감.
울타리의 질과 관련해서 생산적인 무드는 그 무드에서 벗어나서 일상생활에 influence을 주지 않으면서 무드의 경험을 성찰할 수 있음. 무드에서 벗어나서도 곧바로 일상생활로 돌아오지 못하고 또 자신의 무드 경험을 성찰 할 수 없음은 건강한 현실인식 능력의 결핍, 즉 울타리의 질의 문제임.
• 회상적 environment
우울한 상태의 환자는 단지 우울할 뿐만 아니라 어린 시절의 버림받은 아이가 됨. How are you?는 Who are you?와 밀접히 연결.
무드는 외적 대상의 내적 표상에서 올뿐만 아니라 과거의 마음의 상태의 표상에서 온다. 과거의 유아 경험과 그 존재의 상태(former infant-child experience and states of being)를 재 경험하고 재창조하는 회상적 environment을 만드는 자기 상태가 무드이다.
무드에서 누가 떠오르는가? 이 부분과 전체적으로 자기와의 관련은 어떤 것인가? 이 부분과 전체의 관련을 통해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평소에 뚱한 사람이 무드에서 말할 수 없이 행복해지는 경우, 상황과의 불일치로 인해서 약간 바보스럽거나 상처 입을…(drop)
Download : 기독교신학과정신분석학의관계.hwp( 43 )






,인문사회,레포트
기독교신학과정신분석학의관계
기독교신학과정신분석학의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다.기독교신학과정신분석학의관계 , 기독교신학과정신분석학의관계인문사회레포트 ,
기독교신학과정신분석학의관계
설명
순서
기독교신학과정신분석학의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