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E] 중.고등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 적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7 11:59
본문
Download : 중고등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 교육.hwp
즉, 신체형(Bodyimage, )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느낌이며 인간이 생물, 심리 사회적 전재로서의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와 관련되는 기초적 자기정의 이다(조명옥, 1985).
[참고data(資料)] 신유선, 보건교육학, 수문사, 2010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하여 중.고등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을 실시 작성했습니다.
신체형,신체이미지,신체상,bodyimage,그린,신체만족도,신체설문,보건교육,
<1 시간 분량의 보건교육지도안>
Ⅰ. 서 론
1) 객관적인 지표
Kindes, Marlene V. Body Image (Hardcover). NovaSciencePubInc. 2007
<설문조사 2>
Ⅰ. 서 론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하여 중.고등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을 실시 작성했습니다. 3) 변경 가능한 요인
신체이미지 구성 정의 은 신체의 능력(ability), 기능(function) 및 외모(appearance)의 세 측면으로 구분되고, 외모는 다시 크기와 형태에 대한 지각과 평가로 세분된다(Cash, Winstead & Junda, 1986; Franzoi & Herzog, 1986 등). 그리고 신체이미지 중에서 신체에 대한 정서적 평가(affective evaluation) 부분은 특히 신체존중감(body-esteem)이라 부른다. - 1 시간 분량의 보건교육지도안을 작성 포함. [참고자료] 신유선, 보건교육학, 수문사, 2010 전국대학보건관리학교육협의회, 보건학(보건교육사를 위한), 한미의학, 2009 이수경, 사춘기 여학생의 신체성장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자신존중감, 한국학술정보, 2006 헨드릭 콜만, 강영배 역, 청소년과 사회. 성안당 2006, Kindes, Marlene V. Body Image (Hardcover). NovaSciencePubInc. 2007 Sylvia K. Blood. Body Image. Routledge. 2005
* [선정된 대상의 인구 사회적 property(특성)]
다.
자신의 신체경험으로부터 형성하게 되는 신체에 대한 정신적 표상을 신체형(신체상, Body image)이라 한다. 그러므로 개인이 자신에 대해 형성하고 있는 신체이미지는 주관적인 것으로, 물리적인 신체와는 차이가 있다(Head, 1920).
신체형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하여 볼 때, Roy(1981)는 자아는 개인적 자아와 신체적 자아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였다. 자아존중감은 이런 자아정의 의 통합이며 상호간의 influence을 미친다. 개인적 자아는 윤리적- 도덕적 자아, 자기일관성, 자기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체형이라고도 하는 신체적 자아는 신체 기능능력과 기능을 조절하는 능력에 influence을 받는다고 하였다.
[1단계] -사회적 진단(Social diagnosis)
[9단계] - 결과평가
2) 강화요인 (reinforcing factors)
5) 행위목록
[7단계] - 과정평가
[4단계] - 교육적, 조직적 진단(Educational and ecological diagnosis)
<설문조사 1>
Ⅱ. OO 중학교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실시 및 分析(분석) 보고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 까지 신체를 가지고 살며 신체는 가장 눈에 잘 보이고 느낄 수 있는 개인의 부분이므로 신체형 정의 은 자기정의 의 중심이 된다된다.
Ⅲ. 결 론
헨드릭 콜만, 강영배 역, youth과 사회. 성안당 2006,
- [그린의 PRECEDE-PROCEED모형] 적용 -
- 1 시간 분량의 보건교육지도안을 작성 포함.
순서
설명
[보건교육E] 중.고등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 적용]
[참고 문헌]
Sylvia K. Blood. Body Image. Routledge. 2005
전국대학보건관리학교육협의회, 보건학(보건교육사를 위한), 한미의학, 2009
[8단계] - influence평가
4) 변경 불가 요인
2) 주관적인 해석
1) 행위적 요인
[5단계] - 행정적, 정책적 진단 (Administrative and policy diagnosis)
<설문조사 결과>
[3단계] - 행동적, 環境(환경)적 진단(Behavioral and environmental diagnosis)
1) 소인성요인(predisposing factors)
Download : 중고등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 교육.hwp( 18 )
%EC%97%90%20%EB%8C%80%ED%95%9C%20%EB%B3%B4%EA%B1%B4%20%EA%B5%90%EC%9C%A1-2067_01_.gif)
%EC%97%90%20%EB%8C%80%ED%95%9C%20%EB%B3%B4%EA%B1%B4%20%EA%B5%90%EC%9C%A1-2067_02_.gif)
%EC%97%90%20%EB%8C%80%ED%95%9C%20%EB%B3%B4%EA%B1%B4%20%EA%B5%90%EC%9C%A1-2067_03_.gif)
%EC%97%90%20%EB%8C%80%ED%95%9C%20%EB%B3%B4%EA%B1%B4%20%EA%B5%90%EC%9C%A1-2067_04_.gif)
%EC%97%90%20%EB%8C%80%ED%95%9C%20%EB%B3%B4%EA%B1%B4%20%EA%B5%90%EC%9C%A1-2067_05_.gif)
[2단계] - 역학적 진단(Epidemiological diagnosis)
[6단계] - 수행
이수경, 사춘기 여학생의 신체성장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자신존중감, 한국학술정보, 2006
다시 말해서 신체이미지는 신체의 감각과 기능, 능력에 대한 지각경험과 신체를 매개로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얻는 사회경험이 복합된 심리적 경험의 산물로서, 개인이 그가 속한 사회 문화적 環境(환경) 속에서 형성한 신체에 대한 정서와 인지가 응축된 정의 이다. - 선정된 대상의 인구 사회적 특성을 기술하였습니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Stuart(1983)는 자신의 신체에 대하여 수용적인 사람이 자신의 신체를 싫어하는 사람보다 자존감이 높다고 하였고 신체기관의 상실 및 기능의 상실은 열등한 신체형 및 열등한 자아정의 으로 확대된다고 하였다.
2) 비 행위적 요인
신체형과 자아존중감을 관련시킨 연구보고들로서 장효순(1985)은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부정적인 신체형을 가진 환자일수록 자아정의 이 낮다고 하였다. 즉, 자신이 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자기존중감이 낮고 신체조절 능력과 기능은 자기가치에 대한 느낌에 influence을 미친다고 한다. 이와 유사한 정의 으로 Jourard & Secord(1954)도 개인이 신체에 대하여 가지는 감정은 그 자신에 대하여 갖는 감정과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높은 자기 존중과 사람들의 신체용모와 상관이 높다고 보고하였다(신유정, 1994).
- 선정된 대상의 인구 사회적 特性(특성)을 기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