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구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21 15:54
본문
Download : 인간과 구원.hwp
그 대표적인 것이 죽음, 죄, 고통 등이다. P. Tillich, The Courage to Be(London: Nisbet, 1953), pp.37-38. 참고: Heinz Zahrnt, The Question of God, trans. by R. A. Wilson(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1966), pp.322-23.
만약 틸리히가 1970년대 이후 살았다면 그는 오늘의 불안을 무엇으로 파악하였을까? 어쩌면 그는 오늘의 불안을 사회적 생태학적 비존재의 위협 및 소외와 억압으로 파악했을지 모르겠다. 둘째는 비존재가 인간의 윤리적인 자기 확신을 위협함으로 갖게 되는 불안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 , 인간과 구원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Ⅱ. 인간의 궁지와 구원
종교는 인간이 빠져있는 어쩔 수 없는 궁지와 불안에 대한 해결을 구원이란 용어로 제시한다.인간과 구원






Download : 인간과 구원.hwp( 16 )
종교는 인간이 빠져있는 어쩔 수 없는 궁지와 불안에 대한 해결을 구원이란 용어로 제시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
Ⅱ. 인간의 궁지와 구원
Ⅱ. 인간의 궁지와 구원 종교는 인간이 빠져있는 어쩔 수 없는 궁지와 불안에 대한 해결을 구원이란 용어로 제시한다. …(투비컨티뉴드 )
다.
틸리히는 이 세 가지 모습의 불안이 시대적으로 그 대표적인 모습을 달리하여 나타났다고 보았다. 즉 고대 말기에는 존재론적 비존재의 위협 및 숙명과 죽음에 대한 불안이 나타났고, 중세 말기에는 윤리적 비존재의 위협 및 죄과와 영원히 멸망하는 처벌에 대한 불안이 나타났으며, 현대의 말기에는 정신적 비존재의 위협 및 공허감과 무의미성에 대한 불안이 나타났다. 이렇게 요약하면서 틸리히는 현대인이 갖는 불안은 궁극적으로 죽음과 죄가 아니라 삶에 대한 무의미성이라고 지적하였다. 그 상대적인 불안은 죄과에 대한 것이요, 그 절대적인 불안은 영원히 멸망하는 처벌에 대한 공포다. 틸리히(P. Tillich)는 인간이 갖는 근본적인 불안을 세 가지 모습으로 요약하면서 그 불안의 극복을 구원에 대한 요청으로 해석하였다. 셋째는 비존재가 정신적인 자기 긍정을 위협함으로 갖게 되는 불안인데 그 상대적 불안은 공허감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 절대적 불안은 무의미성으로 나타난다. 첫째는 비존재가 존재에 대한 자기 긍정을 위협함으로 갖게 되는 불안이다. 이 차원의 상대적인 불안은 숙명에 대한 불안감이요, 그 궁극적인 불안은 죽음의 공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