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신화 원류를 찾아서 (단군신화와의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13:38
본문
Download : 동서양신화 원류를 찾아서 (단군신화와.hwp
③ 이집트의 창세 신화
Ⅲ. 우리나라 신화와의 비교
1. 그리스
12. 한국 건국신화의 실상과 이해 -이지영 월인,2000
Ⅴ. 서양신화와의 비교
1. 중국(中國)





동서양신화 단군신화 창조신화 중국신화 샤머니즘 유사신화 / 1. 단군과 고조선사 -노태돈- 그중 단군신화의 의미와 기능 - 서영대 사계절,2000 2. 창조신화의 세계 -전북대 인문과학연구소 소명출판,2002 3. 중국신화연구 - 선정규 고려원,1996 4. 동북아시아 샤머니즘과 신화론 -김열규 고려원,1996 5. 세계의 유사신화 -J.F비얼레인 지음,현준만 옳김 세종서적,1996 6. 살아있는 신화 -J.F비얼레인 지음,배경화 옮김 세종서적,2000 7. 중동신화 -사무엘헨리후크 지음,박화중 옮김 범우사,2002 8 .우리신화의 수수께기 -김양기 지음,박광순 옮김 넥서스,2000 9. 동아시아 건국신화의 역사와 논리 -조현설 문학과지성사,2003 10. 동북아의 곰문화와 곰신화 -이정재 민속원,1997 11. 한국신화의 비밀 -조철수 김영사,2003 12. 한국 건국신화의 실상과 이해 -이지영 월인,2000 13. 신의 나라 인간의 나라 -이원복 두산동아,2003 14. 신화의 세계 -박정혜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2000 ()
순서
신화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를 두어야 한다.
1. 곰 모티프-조상신(祖上神), 산신(山神), 영혼회귀사상(靈魂回歸思想)
Ⅱ. 단군신화 introduce
동서양신화 단군신화 창조신화 중국신화 샤머니즘 유사신화
3. china신화연구 - 선정규 고려원,1996
9. 동아시아 건국신화의 역싸와 논리 -조현설 문학과지성사,2003
2. 日本
동서양신화 단군신화 창조신화 china신화 샤머니즘 유사신화 / 1. 단군과 고조선사 -노태돈- 그중 단군신화의 의미와 기능 - 서영대 사계절,2000
11. 한국신화의 비밀 -조철수 김영사,2003
8 .우리신화의 수수께기 -김양기 지음,박광순 옮김 넥서스,2000
1. 각 나라별 창세 신화
2. 수로와 가야
5. 세계의 유사신화 -J.F비얼레인 지음,현준만 옳김 세종서적,1996
Ⅳ. 동양 신화와의 비교
1. 혁거세와 신라
④ 중국(中國)의 창세 신화
7. 중동신화 -사무엘헨리후크 지음,박화중 옮김 범우사,2002
뒤메질의 연구방법은 인도-유럽 비교 언어학과 인도-유럽 비교 사회학의 바탕 위에서 그의 비교 신화학을 모색하는 것이다.
과학적인 비교 신화의 방법론으로는 “history 지리학적 전파론”과 뒤메질 학파의 인도-유럽 비교 신화학 등이 있다 이중 뒤메질 학파의 연구방법의 도입으로 한국신화론이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理論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고 하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 상황으로 진행이 되고 있다고 하는데 이는 example(사례) 위주의 실증주의적인 우리나라의 연구방법 때문이다 심하게 이야기 하면 마치 보물찾기라도 하듯이 숨겨진 비슷한 example(사례) 찾기가 우선된 비교연구가 주로 수행되어 왔다는 것이다. 최근까지도 고등학교 국정교과서에서 우리는 고대조선이 과연 우리민족이 최초로 세운 초기 국가였는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도록 학문적 언급 없이 모호한 내용을 담고 있어 옛날이야기 정도로 치부해버리는 과오를 범하여 왔다. 이는 특별한 理論적 전제나 방법론이 미리 검증되고 또 원용된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비교 신화학에서 그렇듯이 비교되는 종족 또는 文化(문화)권이 서로 공통점을 나누어 갖고 있음을 우선으로 전제하여, 그것이 신들 그리고 신화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가 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살펴야 하는데 이때, 인도-유럽 상고대의 여러 국가 종족들 사이에 존재했던 그 공통소들이 한국이나 日本 에서 추적되고 제시되는 것은 상당히 무리이다.
4. 日本 의 창세신화와 단군 신화 비교
3. 중국(中國)의 창세신화와 단군 신화 비교
14. 신화의 세계 -박정혜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2000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동서양신화 원류를 찾아서 (단군신화와의 비교)
② 그리스의 창세 신화
2. 동 서양의 창세 신화 비교
4. 동북아시아 샤머니즘과 신화론 -김열규 고려원,1996
설명
① 인도의 창세 신화
2. 메소포타미아신화(엔키신화)
민족의 기원과 history의 출발을 밝히는데 민족신화와의 정확한 해석만큼 중요한 것이 없기에 단군 왕검신화를 중심으로 타신화와의 비교를 통해 과연 단군신화가 어떤 history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민족의 기원과 고대조선의 history적 의의를 구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명확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
3. 인도
Ⅶ. 곰신화와의 비교
6. 살아있는 신화 -J.F비얼레인 지음,배경화 옮김 세종서적,2000
Ⅰ. 서론
10. 동북아의 곰文化와 곰신화 -이정재 민속원,1997
Download : 동서양신화 원류를 찾아서 (단군신화와.hwp( 53 )
Ⅵ. 창세신화
4. 티벳
13. 신의 나라 인간의 나라 -이원복 두산동아,2003
2. 창조신화의 세계 -전북대 인문과학연구소 소명출판,2002
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신화 방법론은 여러 다양한 학파를 이루어 진행이 되고 있는 만큼 접근 방식에 있어서 전제를 두지 않고는 중구난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 수목 모티프, 곰, 여성, 결혼 우리 민족은 유구한 history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족기원에 대한 합의된 history기원을 제대로 세우지 못하여 아직도 논란이 계속 되고 있다 이는 우리 나라가 처해있었던 history적 특수성에 기인한 것이겠지만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