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가지 교수학습수업모형별 정이와 전개방법,학습지도시 유의사항 및 교수학습과정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7:25
본문
Download : 학습모형별수업전개과정교수학습과정안.hwp
조별 활동을 하면, 아동들 자신이 자신의 학습 과정에 참여하게 되므로 그 학습에 대하여 자신이 책임을 지는 셈이 되고, 자신이 그 학습 과정에 책임감을 가지면 가질수록 학습한 내용은 그만큼 아동들 자신의 것이 된다 처음에는 이러한 활동에 잘 적응하지 못하거나 실제로 잘 하지 못하는 아동들도 많이 있다아
1. 가상 체험 모형
53. 지그소우(Jigsaw)학습
66. 학습 양식 수업 모형
7. 감상중심학습
20. 목표기반 시나리오 수업 모형
설명
69. 현장 조사 학습
6. 가치 탐구학습
59. 인간 중심 모형
12. 구안 학습의 방법
51. 지도 이용 학습
5. 가치 수용 학습
15. 기악중심 학습 모형
10. concept(개념) analysis 모형
4. 가치 명료화 학습
교수학습수업모형모음, 수업모형별정의와전개방법, 교수학습과정안, 교수학습모형, 교수학습설계안, 모형별수업전개방법, 수업교육모델, 학습지도시 유의사항 및 교수학습과정안,
41. 공동체 언어 교수법
47. 자리활동 학습
17. 마인드맵 학습
의사 소통의 최소 단위인 두 사람에게 상호 협조하여 해결해야 할 어떤 문제(Task )를 제시하고, 그 문제(Task )의 해결을 위해 꼭 필요한 정보를 참여하는 두 사람에게 상호 보충적으로 배분해 준다면, 두 사람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의사를 서로 교환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언어 data(자료)를 엄밀하게 조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다양한 언어 요소가 사용될 수 있는 Task 를 제시하고, 어떤 형태의 언어 data(자료)가 표출되는가를 학생들의 Task 수행의 과정이나 결과를 보고 판단하는 방식을 취한다.
3. 가치 갈등 모형
64. 프로젝트 학습법
37. 침묵식 교수법
43. 자연적 접근법
31. 연표 학습
32. 자연적 교수법(Natural Approach)
38. 암시적 교수법
1. Task 해결형 학습법이란?
23. 문헌 조사 학습
26. 사회적 상호 작용 모형
레포트 > 교육계열
73. 회화중심학습
9. concept(개념) 학습
Task 수행형 교수법은 엄밀하게 조종된(finely-tuned) 언어 data(자료)를 투입하고, 또 투입된 것이 그대로 표출되기를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아동들이 학습 과정에 직접 참여해 본다는 경험을 축적해 나간다는 것이다. 아동에게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문제를 주고 해결하도록 요구하면,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고 진정한 의사 소통에 매우 근접하게 용어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아 이것은 문제 해결형 혹은 Task 해결형 방법의 한 예이다.
나. 머리 속으로나 육체적으로 영어를 사용하여 뭔가를 실제로,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Task 를 준다. 즉, 두 사람 간에 정보의 공백을 만들어 주면, 이 정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는 스스로 생각도 많이 해야 하고, 또 상대방이 가진 정보를 이용도 해야 한다. 즉, 일상의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모습과 유사한 조건을 마련하여 의사소통의 연습을 시킴으로써 외국어를 가르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아
65. 학습 능력 수업 모형
18. 모둠별 학습
60. 스포츠 중심 모형
54. 직접교수모형
30. 스크립트 협동학습
25. 사례학습 모형
70. 현시적 교수모형
78가지 교수학습 수업모형별 정의와 전개방법 학습지도시 유의사항 및 교수학습과정안 ,
16. 놀이 모형 학습
14. Task 학습의 수업 모형
11. 구성 학습
2. 가창중심 학습 모형
55. 창작중심 학습 모형
,
49. 정보처리 모형
78가지 교수학습 수업모형별 정이와 전개방법
학습지도시 유의사항 및 교수학습과정안
8. 강의식 수업
22. 문제해결학습
28. 수학적 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
67. 학습 흥미 수업 모형
27. 서예중심학습
46. 일제 학습 theory(이론)
19. 모의 놀이 학습
58. 학문 중심 모형
또, 아동들이 팀별 활동을 함으로써 아동들 개개인이 사용하는 전체적인 영어의 양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많아지게 된다 이것은 언어 사용의 실제성을 보다 크게 반영하는 방식이기도 하며, 아동들의 학습에의 참여 강도를 높여서 언어 연습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기도하다. 그러나 팀별 활동을 하게 하면, 진정한 의미의 언어 사용(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이유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 연습의 경우에도 아동들이 같은 형태의 질문이나 대답을 반복하는 데 대한 이유를 제공해 줄 수 있다아 교사가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하고 대답하는 것 보다, 아동들이 팀별로 질문하고 대답하게 하면 아동들 개개인의 언어 연습의 기회가 훨씬 많아진다. 이때 학습의 내용이나 요구되어지는 활동은 가능한 한 간결하고 명료하여야 한다. 매우 간단한 활동을 고안해 낼 수도 있다아 이와 같은 언어의 실제 사용의 측면과 더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동들이 스스로 생각을 하면서 다른 아동과 영어로 상호 활동을 해 본다는 것이다.
39. 자연식 방법
48. 자원기반학습 모형
42. 전신reaction(반응)법
63. 토의 학습
56. 움직임 교육 모형
45. 인지적 도제 학습 theory(이론)
29. 수학적 기능 신장을 위한 학습
다.
57. 체력 중심 모형
44. 이해중심 학습 모형
35. 총체적 언어 교수법
다. 학생들이 조별/그룹별로 하는 행동/활동에 대하여 구성원 전부가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에서 아동들은 어떤 문형 연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의미의 전달을 위해서 자신이 동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표현들을 적극 사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것은 보통의 의사 소통 모습을 충실하게 반영하는 것이고, 언어를 실제로 사용하게 하는 과정이다. 실제로 영어를 사용하게 한다는 것은 반드시 매우 복잡한 언어 구조나 어려운 단어 등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 문제해결에 관한 theory(이론)
33. 전신 reaction(반응) 교수법
4. Task 해결형 학습 적용의 유의점
Download : 학습모형별수업전개과정교수학습과정안.hwp( 64 )
24. 발생학습 모형
50. 조소중심학습
40. 의사소통 접근법
36. 청취, 구술 교수법
21. 문제중심학습 모형
13. 극화학습모형
61. 탐구 학습





34. Task 해결형 학습법
72. 협동학습과 스크립트 협동학습
62. 토의 학습
78가지 교수학습수업모형별 정이와 전개방법,학습지도시 유의사항 및 교수학습과정안
71. 협동학습
52. STAD 협동학습
68. 행동주의 모형
가. 학생이 보다 즐겁고 效果(효과)적으로 영어를 배울 수 있도록 영어로 옆의 친구와 이야기 할 수 있는 목적/이유/조건을 제공해 주고,
순서
이를 위해서는 한 학급의 전체 아동을 여러 개의 조나 소집단으로 나누어 팀별(그룹별)로 활동을 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아 사실, 매우 얌전한 아동도 한 시간 내내 가만히 앉아서 교사의 지시나 설명(explanation)을 듣고 수업받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