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13:08
본문
Download : 동강_2023536.hwp
동강 , 동강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1.동강intro
2.동강의history
3.동강의 자연가치
ꋫ본론
1.댐건설의 problem(문제점)
2.댐건설의 必要性
ꋫ結論
◦ 뗏목 나르던 수송로 역할
옛날에는 영월사람들만 동강이란 이름을 사용했다.
◦ 찻길이 나지 않은 유일한 강
이렇게 모든 이들에게 관심 밖의 강이었던 동강은 영월댐 공사 계획이 알려지면서 오히 려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1957년 영월~함백간 태백선 철길이 목재 수송로 역할을 떠맡으며 동강은 아무도 찾지 않는 곳으로 바뀌고 말았다. 또한 서울을 가려 해도 굳이 영월을 거칠 필요 없가 없었다.
여느 강줄기 같으면 강가 따라 길이 났을 법도 한데, 동강은 그런 대상도 못됐다.
,인문사회,레포트
동강
동강에 대한 글입니다. 살아 움직이는 듯, 한 굽이 굽돌 때마다 예측불허의 모습을 보여주는 강줄기가 동강인 것이다.
2. 동강의 history
◦ 선사시대
동강 유역에 사람들이 들어와 살기 처음 한 것은 언제부터 일까.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 해서는 아득한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는 방법 밖에는 없다. 그리고 정선의 떼꾼들은 정선, 태백 일대에서 나온 목재를 뗏목으로 엮어 큰물이 지면 서울까지 나르는 물줄기로 만 사용했다. 이것은 그냥 강이 아니기 때문일것이다 잔잔한 강줄기인 듯하다 갑자기 협 곡이 나타나면서 성난 급류가 흘러내리고, 그러다 다시 전형적인 강으로 모습이 변하면 서 폭풍우가 몰아쳐도 전혀 흔들리지 않을 듯 잔잔해진다.






Download : 동강_2023536.hwp( 11 )
동강
다. 평창~제 천~원주~영동고속도로, 또는 평창~영동고속도로를 이용하는 편이 훨씬 낫기 때문일것이다 이러한 까닭으로 동강은 강변을 따라 찻길이 뚫리지 않은 채 적막강산 속의 강으로 남아 있을 수 있었던 것이다. 동강은 백두대간의 심산…(생략(省略))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동강에 대한 글입니다. 정선 사람들은 영월보다는 동쪽 백두대간의 고개를 넘나들며 강릉에서 필요한 물품을 구해오 는 데 익숙했다. 동강은 단 한번만이라도 찾은 사람에게는 사랑을 받을 수밖에 없는 강이었다. 상류의 정선 사람들은 깊은 골짜기 사이로 흘러내리는 강이라 하여 그저 `골안`이라 불렀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