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9 17:01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고찰.hwp
훈민정음제자원리에대한고찰 ,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고찰기타레포트 ,
훈민정음제자원리에대한고찰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해 고찰한 내용입니다.
설명
Ⅰ. 서론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 언문 28자를 고전(古篆)에 본받아 만들었다는 설과 범자(梵字)에 의해서 만들었다는 설, 세종 조에 사신을 명하여 몽고 글자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설 등과 같이 그동안 널리 알려진 한자의 고전설, 몽고 및 싼스트리스트 문자에 근거를 둔 설, 또한 음양오행설, 태극설 등을 들 수 있었는데 1945년에 원본〈훈민정음〉해례본이 안동에서 발견됨에 따라서 자음과 모음의 제자원리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따서 만들었다는 상형설 및 天, 地, 人의 삼재설을 그 근본으로 삼게 되었다.
,기타,레포트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고찰
다. 따라서 여기서는〈훈민정음〉해례본에 나와있는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의 꼬리말 중에서 『제자해』즉,〈글자짓기풀이〉의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살펴 보고 그 외의 주목할만한 학설도 간략하게나마 고찰해 보기로 하겠다.
Ⅱ. 본론
〈훈민정음〉해례편 『제자해』의 결(訣) 부분에 의하면 ‘천지의 탄생은 본디 하나의 기운으로부터 처음 되며 음양과 오행이 서로 돌고 돌아 만물이 둘[하늘과 땅] 사이에서 형체와 소리를 갖추었나니 근본이 둘이 아니니 모두 이치에 통하느니라. 또한 정음의 글자 만듦엔 그 꼴을 좇았는데 소리가 거셈에 따라 언제나 획을 더하였으니 소리는 어금니·혀·입술·이·목구멍에서 나는데 이것이 첫소리인 초성(初聲)이 되며 글자는 17자이니라. 그리고 가운뎃소리인 중성(中聲) 11자도 꼴을 본떴는데 ‘·’는 하늘을 본떴으며 소리는 가장 깊고 둥근 것이 구슬과 같고 ‘ㅡ’ 소리는 깊지도 아니하고 또한 얕지도 아니하며 그 형체가 평평함은 땅을 본떴고 ‘ㅣ’는 사람이 서 있음을 본떴는데 그 소리가 얕으니 삼재(三才)의 이치가 여기에 다 갖추어져 있다 ’ 라고 밝히고 있다
또한 어금니소릿자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꼴을, 혓소릿자 ‘ㄴ’은 혀가 윗잇몸에 붙는 꼴을, 입술소릿자 ‘ㅁ’은 입의 꼴을 잇소릿자 ‘ㅅ’은 이 전체의 꼴을, 목구멍소릿자 ‘ㅇ’은 목구멍의 꼴을 본떴다고 쟈세히 밝히고 있다 그리고…(skip)






Download :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고찰.hwp( 46 )
순서
레포트/기타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해 고찰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