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01:40
본문
Download : 한자.hwp
한자 , 한자생활전문레포트 ,
다.
화(뜻: 되다, 음: 화)
형성문자
음을 나타내는 비(화)는 인(인→사람)을 방향(방향)을 바꾸거나, 거꾸로 쓴 것,
사람의 자태(자태)·모양이 바뀌다의 뜻, 사람이나 물건의 겉으로 본 모양이 바뀌는 일을 나타내는 일입니다.
한자
Download : 한자.hwp( 21 )
한자에 대한 글입니다.
화의 쓰임: 개화(개화), 국화(국화), 국화주(국화주)
뜻: 감추다, 덮다.
필의 쓰임: 천…(省略)
순서
한자에 대한 글입니다.
혜(혜)는 2획 부수자로, 회의자로 봅니다. 즉, (바로선 사람) + (거꾸로 선 사람)을 뜻합니다.
북의 쓰임: 남남북녀(남남북녀), 북극권(북극권), 납북(납북)
화(뜻: 꽃, 음: 화)
형성문자
초두머리부는 식물, 화(화)는 후세(후세)에 생긴 글자로 본래는 화(화)로 씌었으며, 음이 같은 화(화)를 써서 쉬운 자형(자형)으로 한 것 입니다.
필(뜻: 필, 짝, 음: 필)
형성문자
음을 나타내는 팔(팔→필은 변음)과 터진에운담의 합자입니다. 본래는 옷감 두 끗의 뜻, 음은 나란히 놓다에서 origin하였으며, 필부(필부)와 같이 하나의 뜻으로 쓰는 것은, 옛날 한 끗의 옷감을 양쪽으로부터 감아 두개를 나란히 놓은 모양을 일필(일필)이라고 한데서 origin(origin)하엿습니다.
{회의자} 윗부분의 `ㅡ`는 덮어 간 것을 의미하고, 아래의 `ㄴ`은 감추어 숨긴 것을 의미해
`감추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의미의 결합인 회의자입니다.
《혜의 활용》
[감출 혜]를 부수로 삼는 글자들은 매우 극소수의 글자들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화의 쓰임: 간소화(간소화), ,감화(감화), 개화(개화), 객관화(객관화)
북(뜻: 북녘, 음: 북)
상형문자.
사람이 서로 등지고 있는 모양→적에 등을 보이고 달아나다(→패배패배), 또 사람은 밝은 쪽을 향하며 집도 남향으로 세우므로 반대쪽을 북쪽으로 삼음을 나타냅니다.설명
,생활전문,레포트
레포트/생활전문
한자






《비의 활용》
[비수 비]자를 부수로 삼는 글자는 극히 적은 편입니다.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통상
`터진에운담`으로 불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