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17:10
본문
Download : 20192_핵심요약노트_국문4_한국어교육론.pdf
제7강 한국어교수법
Download : 20192_핵심요약노트_국문4_한국어교육론.pdf( 25 )
제3강 발음교육론
제9강 읽기교육론
- 중략 -
② 한국어 교육: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다른 나라 사람으로 하여금 한국어를 학습하게 하여 한국어로 의사소통하고 교류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음
1. 언어교육과 언어능력
제13강 한국어 평가론
- 화용적 능력: 문장이나 발화에 대한 명제적 지식과 기능적 지식, 사회언어학적 지식을 포함
제15강 어문규정과 한국어교육
제5강 문법교육론
한국어교육론,한국어교육론시험,한국어교육론핵심,한국어교육론요약,한국어교육론기출
제6강 文化(문화)교육론
제10강 말하기 교육론
제14강 특정목적의 한국어교육
제1강 세계 속의 한국어 제2강 한국어 교육과정론 제3강 발음교육론 제4강 어휘교육론 제5강 문법교육론 제6강 문화교육론 제7강 한국어교수법 제8강 듣기교육론 제9강 읽기교육론 제10강 말하기 교육론 제11강 쓰기교육론 제12강 한국어 교재론 제13강 한국어 평가론 제14강 특정목적의 한국어교육 제15강 어문규정과 한국어교육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제12강 한국어 교재론
제2강 한국어 교육과정론





2019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② 사회언어학적 능력: 묘사, 說明(설명) , 설득, 정보 전달 등의 특정 언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회적 맥락과 담화 상황에 맞게 문법적 형태를 사용하거나 이해하는 능력
① 언어 능력
① 문법적 능력: 어휘, 발음 규칙, 철자법, 단어 형성, 문장구조 등의 언어적 기호를 정확히 사용하여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생성해 내는 능력
1) Bachman(1990)은 의사소통 능력을 2가지로 구분
① 언어교육: 언어생활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언어 기능의 습득을 目標(목표)로 하는 교육
제1강 세계 속의 한국어
제11강 쓰기교육론
순서
제8강 듣기교육론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설명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② strategy적 능력
- 구성적 능력: 문법적 지식과 텍스트 지식을 포함
제4강 어휘교육론
(1) 언어교육
제1강 세계 속의 한국어
(2) 의사소통 능력
2) Canale과 Swain(1980)은 의사소통 능력을 4가지로 구분
다.